학교 비정규직 총파업 D-1… 당국, 대체급식·단축수업 ‘비상’

입력 2019-07-02 04:03
서울 학교 비정규직 연대회의 회원들이 1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총파업 돌입 선언 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급식실 조리사, 돌봄 전담사 등 비정규직으로 일하는 이들은 임금 인상과 정규직 전환을 요구하며 오는 3~5일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권현구 기자

전국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총파업이 예정된 가운데 교육 당국이 대체급식과 단축수업 등 대책 마련에 돌입했다.

박백범 교육부 차관과 17개 시·도교육청 부교육감은 1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부교육감 회의를 열어 3일로 예정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총파업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서는 우선 광주교육청 등 일부 교육청이 대표단으로 있는 실무교섭단이 연대회의 측과 재협상 가능성을 타진하기로 했다. 다만 협상이 결렬돼 총파업이 진행될 경우에 대비해 급식 관련 대응책을 별도로 마련키로 했다.

급식은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직원을 동원해 정상 운영을 위해 노력하되, 불가피한 경우 학교에서 도시락·김밥·빵·떡·과일 등 대체급식을 제공할 예정이다.

학교별 대책은 교장·교감·학년부장·영양교사 등 학교 측과 학교운영위원회·학부모회·학생회가 협의해 마련한다. 학교 여건에 따라 개인별 도시락을 지참하도록 하거나 단축수업 등 학사 운영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했다. 다만 개인별 도시락을 준비할 경우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을 미리 파악해 별도 지원한다.

초등학교 돌봄교실과 관련해선 파업 전에 학교별로 가정통신문을 보내 평소보다 일찍 귀가가 가능한 학생 규모를 파악하도록 했다.

특수교사 파업 상황에 대비해서는 예체능 등 일부 과목만 특수학급으로 운영하던 시간제 특수학급을 전일제 특수학급으로 통합하는 등 탄력 운영을 검토한다. 장애학생의 경우 통학버스 승하차·급식·용변 처리 등에 지장이 없도록 교직원·학부모 협조체제를 운영하기로 했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대화로 문제를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 이 장관은 주요 간부회의에서 “노조 입장도 이해되는 부분이 있으나 국민 불편 등을 감안해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줄 것을 노사에 요청한다”고 밝혔다.

앞서 비정규직연대회의는 이날 청와대 분수대와 전국 교육청 등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3~5일 사흘간의 총파업 돌입을 거듭 선언했다. 연대회의 조합원은 9만5000여명으로 전체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의 66%에 달한다. 연대회의 측은 이들 중 5만명 이상이 총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들이 전면 총파업에 들어가면 급식과 돌봄교실, 교무 행정 등에 차질이 불가피하다.

한편 다음 달 9일 파업을 예고한 전국우정노조의 쟁의조정 기한은 오는 5일로 추가 연장됐다. 노동부에 따르면 우정사업본부 노사는 이날 오후 중앙노동위원회에서 쟁의조정 기한을 5일로 연장하는 데 합의했다. 노조는 사측과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면 오는 9일 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