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이 3차 북·미 정상회담을 두고 한목소리로 문재인 대통령의 역할론을 제기했다. 우리 영토에서 이뤄진 회담에서 문 대통령의 역할이 없었다는 지적이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는 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번 판문점 회동의 역사적 의미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서도 “어제 회담에 문 대통령이 참석하지 못한 것은 대단히 아쉬운 부분”이라고 말했다. 또 “문 대통령이 대화 외에 평화를 이룰 방법이 없다고 한 것도 안보 상황을 지나치게 낙관한 것 아닌지 짚어봐야 할 대목”이라고 덧붙였다.
황 대표는 “북한이 살라미 전술(단계를 최대한 잘게 나눠 단계별로 대가를 받아내는 전술)을 펼친다면 실무협상이 열려도 실질적 진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우리 스스로 안보를 챙기지 않는다면 북한의 통미봉남(미국과만 협상하고 한국은 배제하는 전략)과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 사이에서 또 다른 위협에 직면할 수 있다”고 했다.
나경원 원내대표도 “문 대통령이 운전자로 시작해 중재자를 자처하더니 이제는 객(손님)으로 전락한 것 같다”며 “북핵 문제에 있어서 대한민국은 바로 당사자이고 주인이다. 주인인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정상회담장 밖에서 대기해야 했던 현실은 결코 환영할 만한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비핵화를 미·북 정상 간 회담에만 기대는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자세가 대한민국 국익의 ‘셀프 패싱’을 자초하는 것 아닌지 걱정된다”고 했다.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도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한민국 영토에서 이뤄진 북·미 회담에서 문 대통령은 역할도 존재도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남·북·미 정상이 함께한 시간은 3분에 불과했다. 북·미 회담이 진행된 53분간 문 대통령은 다른 방에서 기다려야 했다”며 “문 대통령은 조연을 자처했지만 한반도 문제의 직접적 당사자인 한국은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했다”고 꼬집었다. 손 대표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당사자인 우리의 목적이 제대로 관철되고 있는지 걱정”이라며 더 이상 수동적 역할에 머물러 있을 때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