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정상 경호문제 고려 남측 ‘자유의 집’서 회동

입력 2019-07-01 04:0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0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군사분계선에서 만나 자유의 집으로 향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0일 판문점 남측 자유의 집에서 역사적인 회동을 가졌다. 두 정상이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만날 것이라는 관측도 있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의전·경호 문제를 감안하면 자유의 집이 더 적합한 회담 장소였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평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김 위원장과 만나기 전 한·미 정상회담 모두발언에서 “(김 위원장과의 만남은) 물론 보안이라든지 여러 복잡한 문제가 있고 그래서 한국과 북측, 또 미국 측에서 여러 가지 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막판까지 김 위원장과의 회동 장소를 놓고 고민한 것으로 보이는 대목이다.

결국 경호와 의전을 감안해 자유의 집이 낙점된 것으로 분석된다. 갑작스럽게 이뤄진 회동이어서 의전·경호를 제대로 준비할 시간이 없었기 때문에 북·미가 한국군과 미군·유엔군 통제 하에 있는 자유의 집을 회동 장소로 최종 선정한 것이다.

진희관 인제대 통일학부 교수는 “통일각에서 경호업무를 수행한 경험이 없는 미국으로서는 (통일각에서 회담을 갖는 것이) 상당히 부담스러웠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그동안 남한과의 수차례 회담 등을 통해 자유의 집과 평화의 집 내부 상황을 훤히 알고 있어 김 위원장 경호에 어려움이 없지만, 미국은 사정이 다르다는 의미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경호 문제가 가장 컸을 것”이라며 “여기에 문재인 대통령까지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방문한 만큼 김 위원장이 한발 양보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판문점 군사분계선(MDL)을 경계로 북측 판문각과 마주보고 있는 자유의 집은 지하 2층, 지상 4층 건물로 남북 간 연락업무를 맡기 위해 1965년 세워진 뒤 1998년 증축됐다. 일요일과 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운영되는데, 남과 북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경우 휴일과 관계없이 24시간 운용된다. 남과 북은 지난해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개소되기 전까지 자유의 집에 마련된 직통 전화로 의사소통을 했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