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 지주회사로 부활한 우리금융그룹의 ‘완전 민영화’가 막바지 단계에 들어섰다. 정부는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금융 잔여지분 18.3%를 2020년부터 3년간 최대 10%씩 나눠서 매각한다. 과점주주나 대규모 투자자 등을 대상으로 경쟁입찰을 한 뒤 잔여 물량은 블록세일(시간외 대량매매) 방식으로 판다. 1998년 상업은행과 한일은행 합병으로 탄생한 한빛은행에서 출발한 우리금융은 24년의 민영화 대장정을 마무리하게 된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24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를 열고 우리금융 잔여지분 매각 방안을 심의·의결했다고 25일 밝혔다. 금융위 관계자는 “우리금융 지분 매각일정, 시기 등을 미리 발표해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조기에 민영화를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외환위기 이후 옛 한빛은행 등 5개 금융회사의 경영 정상화 과정에서 공적자금을 투입했다. 모두 12조8000억원을 들여 우리금융 주식 7억3000만주를 취득했다. 지분 매각과 배당금 수령 등으로 투입한 공적자금은 지난 5월 말 기준으로 11조1404억원(87.3%)을 회수했다. 금융위는 현재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금융 잔여지분을 모두 매각해 공적자금 회수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정부는 우리금융 지분을 내년부터 2022년까지 2, 3차례에 걸쳐 최대 10%씩 분산매각하기로 했다. 매각은 매회 10% 범위에서 2016년 과점주주 매각 시에 활용했던 ‘희망수량 경쟁입찰’ 방식으로 진행된다. 과점주주나 신규 투자자, 최소 입찰 물량을 충족하는 대규모 투자자 가운데 높은 가격을 제시한 순으로 희망물량이 낙찰된다. 이후 유찰·잔여물량이 있으면 회당 잔여물량의 5% 이내에서 블록세일을 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많은 물량이 한꺼번에 시장에 나올 경우 (우리금융) 주가가 내려갈 수 있어 쪼개서 팔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금융 당국은 우리금융 주가가 1만3800원 선에서 움직인다면 공적자금의 원금을 100% 회수할 수 있다고 본다. 안정적인 매각을 위해 사외이사 추천권 등 투자 유인책을 제시하는 방안도 적극 고려할 계획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주가에 연연하면 매각이 지연될 수 있으므로 주가가 어느 정도 범위에서 움직이면 일정대로 매각을 진행하고, 금융위기 등으로 시장 상황이 급변할 경우엔 공적자금관리위에서 다시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양민철 정진영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