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영광군에 있는 원전 한빛1호기의 제어봉 열출력이 급등했던 사건은 운영인력이 원인이라는 잠정 결론이 나왔다. 미숙한 대처와 절차를 무시한 운영이 진짜 큰 ‘인재(人災)’를 부를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지난달 10일 한빛1호기에서 보조 급수펌프가 작동한 사건을 특별조사해 중간결과를 발표했다. 원전은 핵연료 등의 온도 상승을 막고 이를 식히기 위해 급수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보조 급수펌프까지 작동했다는 것은 냉각 시스템에 뭔가 이상이 발생했다는 걸 보여준다. 원자력안전위가 특별조사를 실시한 이유이기도 하다.
보조 급수펌프는 냉각 작용을 맡는 증기발생기 수위가 높아지며 자동 가동했다. 해당 시점에 한빛1호기의 제어기 열출력은 기준치(5%)를 넘어 18%까지 올라섰다. 이 경우 원전을 수동으로라도 정지해야 했지만, 한빛1호기 운영인력들은 조치하지 않았다.
또 제어봉을 미숙하게 다룬 게 제어기 열출력 급등을 불렀다. 14년간 수행하던 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식으로 제어봉을 시험하면서 문제가 생겼다. 정밀시험을 해야 하는데 계산이 틀린 것이다. 운영을 맡고 있던 원자로 차장은 이 방식으로 제어봉을 처음 다루는 인물이었다. 관련 교육훈련도 받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내부 안전절차도 수시로 무시됐다. 제어봉 시험 중 원자로 조종·감독 자격이 없는 직원이 원자로를 운영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당시 13시간 동안 제어봉 시험을 진행하면서 3개 근무조를 투입했지만, 근무자가 교대할 때 해야 하는 작업회의는 한 차례만 열렸다. 원자력안전위 관계자는 “향후 제어봉 구동 설비 등을 추가 조사한 뒤 재발방지책을 포함하는 종합결과를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