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어선이 아무런 제지 없이 지난 15일 강원도 삼척항에 입항한 것과 관련해 군 당국의 설명이 번복되면서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야권이 청와대의 사건 은폐·축소 의혹을 제기하자 청와대는 국가안보실을 상대로 경위를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1일 ‘군 당국의 첫 브리핑 당시(17일) 국가안보실이 브리핑 방향을 군에 전달했다’는 의혹에 대해 “모든 국가 안보상황에 대해 청와대와 국방부가 협의하고, 국방부가 어떻게 브리핑할지 안보실도 대략은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렇지만 브리핑을 어떻게 하라거나 말라는 등의 간섭은 하지 않는다. 안보실은 전체 상황에 대해서만 판단한다”고 은폐·축소 의혹을 부인했다.
이번 논란과 관련해 안보실도 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윤 수석은 ‘해상경비태세에 문제가 없다는 군 당국의 최초 발표가 잘못됐다면 안보실 관계자도 책임이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당연히 그렇다”며 “전반적인 조사가 진행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은폐나 축소, 조작은 없었다”고 거듭 강조했다.
윤 수석 해명에 앞서 지난 17일 국방부의 북한 어선 관련 브리핑 현장에 청와대 안보실 소속 A행정관이 참석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돼 논란이 일었다. 청와대는 “해당 행정관이 국방부 관계자들과 어떤 협의나 조율을 한 바는 전혀 없었다”며 “당시 언론보도 상황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여론이 흘러가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갔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도 “동향 파악을 위해 청와대 직원이 부처 브리핑 등에 자주 참석한다. 특이한 일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지난 1월 16일 일본과의 초계기 갈등이 벌어졌을 때도 청와대 행정관이 국방부에서 진행된 브리핑에 참석했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지난 17일에도 초계기 사태와 마찬가지로 중대상황이라고 판단해 참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승욱 박세환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