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경기도 성남시 판교 제로시티와 대구 수성구에서 자율주행 셔틀이 시범 운영된다. 자율주행차 상용화의 선결과제인 3차원 정밀도로지도가 전국 고속도로를 중심으로 마련된다. 도서·산간지역에 우편을 배달하는 드론 개발이 추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일 서울 영등포구 전경련회관에서 첫 민·관 합동 ‘5G플러스(+) 전략위원회’를 열고 5세대 통신(5G) 기반 산업육성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정부가 지난 4월 “2026년까지 5G산업 성장을 지원해 이 부문 생산액 180조원을 달성하겠다”며 발표한 ‘5G+ 전략’을 구체화한 것이다.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은 “세계 최초 5G 상용화는 더 이상 의미가 없다”며 “관련 산업을 서둘러 육성해 기업들이 세계 최고로 올라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3차원 정밀도로지도는 자율주행의 필수 인프라다. 여러 대의 사물인식 센서를 활용해 자율자동차 주변의 차선과 신호등, 가드레일, 건물 등 주행에 필요한 모든 사물의 데이터를 수집한 뒤 입체적으로 재구성해 만든다. 자율주행차가 의사결정을 내릴 때 사용하는 도로환경의 모습이 곧 정밀도로지도인 셈이다. 도로 중심선, 경계선 등 차선정보를 안전하게 구분하기 위해선 측정의 오차범위가 10㎝ 이내로 들어와야 한다.
정밀도로지도는 5G와 결합했을 때 진가가 드러난다. 5G는 정밀도로지도를 ㎝단위로 실시간 업데이트하는 데 주로 이용된다. 예컨대 사고 차량이 고속도로를 막아 서는 등 돌발상황이 생겼을 때 이 같은 정보를 정밀도로지도에 즉시 반영토록 하는 게 5G의 역할이다. 5G 이전의 통신으로는 정밀도로지도 업데이트에 필요한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주고받기가 어려웠다.
배송 드론에도 5G 접목이 필수적이다. 5G는 드론 조종 시 드론의 반응속도를 끌어올리고, 시야를 넓히는 역할을 한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