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티슈진 상폐 심사 대상 여부 결정 내달 10일로 미뤄

입력 2019-06-19 19:23

골관절염 치료제 ‘인보사케이주’ 파문을 일으킨 코오롱티슈진의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여부가 미뤄졌다. 한국거래소는 19일 코오롱티슈진이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심사하기 위한 조사기간을 연장한다고 공시했다. 거래소 측은 “추가조사 필요성을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거래소 규정상 조사기간은 최대 15영업일까지 연장할 수 있다. 상장폐지를 할지 말지를 결정하는 게 실질심사다. 이 심사 대상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걸 다음 달 10일로 연기한 것이다.

코오롱티슈진이 상장적격성 실질심사를 받게 되면 거래소는 다시 기업심사위원회에 회부할지를 결정한다. 기업심사위에 회부되면 20영업일의 심의를 거쳐 상장폐지와 유지 사이에서 운명이 갈린다. 앞서 거래소는 코오롱티슈진이 2017년 코스닥 상장 당시 제출한 인보사 관련 자료가 허위로 밝혀짐에 따라 매매거래를 정지했었다.

이번 조사기간 연장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청문절차를 의식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식약처는 전날 인보사의 의약품 품목허가 취소에 대한 비공개 청문회를 열었다. 식약처는 절차상 마지막 관문인 청문회를 거쳐 이달 내 최종 결정을 내릴 방침이다. 이에 거래소도 식약처 절차가 끝난 뒤 결론을 내는 방향으로 마음을 굳힌 것으로 보인다. 소액주주들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이 줄을 잇고 있는 상황도 부담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거래소의 결정은 미뤄졌지만 금융투자업계에선 여전히 실질심사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코오롱티슈진이 상장심사 자료로 제출했던 게 허위로 밝혀진 만큼 실질심사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코오롱티슈진 측은 식약처 청문회에서 상황을 뒤집을 만한 자료를 내놓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종적으로 상장폐지를 결정하면 소액주주들의 피해규모는 더 커질 수 있다.

하지만 기사회생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거래소는 기업의 계속성, 투자자 보호 등을 감안해 상장폐지를 결정한다. 지난해 12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상장폐지 위기에서 탈출할 때도 기업의 안정성과 수익성 개선 상황 등이 고려됐었다.

임주언 기자 e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