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와 울산시가 고리1호기 영구정지 2년을 맞아 “원전으로부터 안전한 도시, 시민들이 신뢰하고 안심할 수 있는 지역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공동입장문을 발표했다.
공동입장문은 원전안전 지방분권 실현을 통해 비상시 두 광역시가 주도해 주민 안전을 확보하며, 원전 내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과세를 부과해 늘어나는 방재대책 세수를 확보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또 안전한 원전해체를 위해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사용 후 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 및 공론화 과정에서 지역의 의견이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도 반영됐다.
원전 안전 정보의 실시간 공유체계로 시민중심의 방재대책을 마련하고, 원전으로부터 안전한 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만전의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정부의 환경문제와 에너지 안보 해결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확대’ 에너지정책으로의 전환 기조에 발 맞추고, 에너지 효율화 및 친환경 에너지 생태계 구축에 역량과 자원을 집중하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원전지역 시민들의 안전과 원전 운영 및 해체의 투명성, 객관성을 확보하며, 두 시당국은 지속가능하고 안전한 클린에너지 전환을 차질 없이 이행해 현재의 안전 외 미래세대까지 안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창원·부산=이영재 윤봉학 기자 yj3119@kmib.co.kr
부산·울산 “원전 안심 도시로 거듭날 것”
입력 2019-06-19 1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