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북·중 만남에 우리 정부 의중 담겨”

입력 2019-06-19 04:03

중국이 경색 국면에 빠진 북·미 관계의 ‘완충재’로 떠오르고 있다. 그동안 북한은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에서 중국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중국 역시 한반도 평화를 위한 논의 과정에서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 북한과 밀착관계를 형성하는 데 공을 들였다. 지금까지 북·중 양자 대화에 우리 정부가 개입하기는 어려운 구도였다. 하지만 청와대는 20~21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으로 비핵화 대화가 촉진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청와대는 시 주석의 방북이 한·중 간 긴밀한 협의를 거친 결과라고 거듭 밝혔다. 이는 이달 말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전후로 남·북·미·중 4개 정상이 다시 비핵화 대화 동력을 살려나갈 것이라는 전망으로 풀이된다.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멈춰 있던 비핵화 대화가 재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8일 “북한과 중국이 만나는 것에 있어서 우리 정부가 긴밀히 협의했다는 것은 우리 정부의 의중이 담겨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긴밀히 협의해 왔다는 표현 안에 많은 의미가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 정부가 시 주석 방북에 주도적 역할을 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청와대는 전날 “시 주석 방북이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이를 조기에 실현하기 위해 중국 정부와 긴밀히 협의했다”고 밝힌 바 있다.

외교가에선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그의 카운터파트인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정치국 위원이 시 주석의 방북을 견인했다는 설도 나온다. 우리 정부가 정의용-양제츠 채널을 통해 북한과의 접촉을 중국에 제안해 받아들여졌다는 얘기도 청와대 안팎에서 흘러나온다.

우리 정부가 북·미 대화 재개를 위해 전방위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상황에서 중국 변수가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게 청와대의 구상이다. 남북, 북·미 간 대화가 여의치 않은 가운데 중국이 대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의미다.

반대로 북·중이 미국의 선(先)비핵화 셈법을 무너뜨리는 전선을 구축하지 않겠느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하지만 청와대는 시 주석의 방북을 전통적인 북·중 대(對) 한·미 구도로 해석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미국과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 부분에 대해 완벽히 일치된 의견을 가지고 있다”며 “대화의 모멘텀을 살리고 불씨를 꺼트리지 않기 위해 북·중 대화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