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자당을 제외한 여야 4당이 소집한 6월 임시국회 등원은 거부하면서 윤석열 검찰총장 후보자 등에 대한 인사청문회에는 참여하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여당의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철회나 사과가 없는 상황에서 국회로 복귀하지는 않겠지만 야당으로서 실리는 챙기겠다는 전략에서다. 한국당이 인사청문회 일정 협의를 계기로 출구전략을 모색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는 18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 의원총회에서 “정부·여당을 설득하며 그들이 변하기를 바랄 여유가 없다. 문제점을 콕 찍어서 집중적으로 파고들어가는 기동성이 필요하다”며 “그 첫 번째 과제가 윤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라고 말했다. 이어 “검찰을 정권의 하수인으로 만들려는 음흉한 계략을 반드시 청문회를 통해 저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국당은 오는 26일 김현준 국세청장 후보자에 대한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인사청문회 개최에도 합의했다.
나 원내대표는 의총 뒤 기자들과 만나 ‘인사청문회에 임하기로 한 것은 한국당의 국회 복귀라고 봐도 되느냐’는 질문에 “아니다. 조금 다르다”고 답했다. 하지만 당 안팎에서는 인사청문회만 참여하고 다른 상임위 일정은 보이콧하기에는 명분이 약하기 때문에 결국 한국당도 청문회 의사일정 협의를 시작으로 출구전략을 찾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당 관계자는 “나 원내대표가 진퇴양난의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며 “이 상황에서 어떻게 돌파구를 찾을지가 향후 원내지도부 리더십의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당은 다만 정부가 제출한 6조70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추경)에 대해서는 “절대 처리해줄 수 없다”며 잔뜩 벼르고 있다. 한 중진 의원은 “범여권이 임시국회 소집을 추진하는 것도 결국 추경 처리를 위한 것”이라며 “국회 복귀를 두고는 당내 찬반 여론이 3대 7 정도로 엇갈리지만, 추경안을 통과시켜서는 안 된다는 의견에서는 거의 만장일치”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종선 김용현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