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실 조리사, 돌봄 전담사 등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임금 인상과 정규직 전환을 요구하며 다음 달 3일부터 사흘간의 총파업을 예고했다. 파업이 진행될 경우 학교 현장의 혼란이 우려된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18일 서울 중구 정동 민주노총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달 7일부터 약 5주간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한 결과 찬성률 89.4%(투표율 78.5%)로 다음 달 3일부터 5일까지 최대 규모의 전국적 총파업을 진행하기로 결의했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의 임금 수준을 현재 교원·공무원 최하위 직급의 60~70%에서 80% 수준으로 인상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 직종 기본급을 6.24% 이상 올리고 근속수당·명절휴가비·정기상여금 등에서 정규직과의 차별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한다. 학교비정규직의 법적 역할과 지위에 대한 근거를 마련해 전국적으로 예산과 정원 배정기준을 통일시켜야 한다는 요구도 하고 있다.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와 교육 당국 간 진행되고 있는 중앙노동위원회 쟁의조정은 오는 20일 종료된다. 이 단체 관계자는 “정부와 교육청의 불성실한 태도로 임금교섭이 두 달 넘게 아무런 진전이 없었다”며 “사용자인 교육부 장관과 시도교육감들이 나서 공정임금제 실현과 제대로 된 정규직화를 위해 성실히 교섭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조합원은 17개 시·도교육청 소속 공립·특수학교와 교육부 관할 국립학교를 포함해 전국적으로 9만5000여명에 이른다. 2017년엔 2만여명이 총파업에 동참해 전국 초·중·고교 1900여곳에서 급식이 중단되고 오전 단축수업이 진행됐다.
이동환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