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트램 4개 노선 구축안’ 적절성 논란

입력 2019-06-18 19:27
울산 지역의 트램(Tram·노면전차) 사업을 둘러싸고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18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 용역 결과를 발표했다. 2027년 운행을 목표로 트램 도입을 추진한다는 게 골자다. 용역에 따르면 트램 노선망은 4개 노선, 연장 48.25㎞이며 사업비는 1조3316억원이 투입된다. 울산시 추진 자체사업 중 역대 최대 규모다.

‘노선 1’은 태화강역에서 신복로터리까지 11.63㎞ 구간, ‘노선 2’는 동해남부선 송정역(가칭)에서 야음사거리까지 13.69㎞ 구간, ‘노선 3’은 효문행정복지센터에서 대왕암공원까지 16.99㎞ 구간, ‘노선 4’는 신복로타리에서 복산성당 앞 교차로까지 5.94㎞ 구간이다. 시는 노선 1과 노선 2에 대해 2024년 1단계 공사에 들어가 2027년 개통할 예정이다.

트램은 건설비가 1㎞당 200억원으로 경전철(600억원)보다 적게 들고 건설비용의 60%는 국비 지원이 가능하다는 게 장점이지만 문제점도 만만치 않다. 출퇴근 시간 외엔 유동인구가 많지 않은데 운영비만 연간 500억원 가량이 필요한 트램을 건설할 필요가 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대해 송 시장은 “대중교통의 적자 부분은 교통복지 차원에서 시에서 감수하겠다”는 입장이다.

버스 이용객조차 줄고 있는데 트램이 필요한가 하는 목소리도 있다. 지역 버스업체 한 관계자는 “트램은 버스나 택시, 승용차와 섞여서 운행할 수밖에 없는데 오히려 시민 불편이 예상된다”며 “자칫 대중교통과 트램 모두 제 기능을 못하게 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