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고교교육 지원사업 턱걸이… 정부에 ‘백기’ 들었나 뒷말 무성

입력 2019-06-18 04:04

고려대 등 7개 대학이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 사업에 선정됐다. 사교육을 억제하고 고교교육 정상화를 유도하는 대입 전형을 운영하는 대학에 입학사정관 인건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교육부는 ‘2019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 사업 추가 선정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추가 선정 평가는 일종의 패자부활전 성격이었다. 지난해 사업비를 지원받던 대학 가운데 중간평가에서 하위 10곳, 신규로 사업에 진입하려는 대학 등 모두 26곳이 경합을 벌였다.

하위 10곳 중 고려대 부산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우석대 전북대 한동대는 재선정됐고, 서울과기대 순천대 한국교원대는 최종 탈락했다. 신규 진입 대학은 대구교대 상명대 연세대 제주대다. 이로써 올해 사업비 559억원을 나눠가질 68개 대학이 모두 결정됐다.

기사회생한 고려대에 배정된 금액은 11억2500만원이다. 이를 두고 뒷말이 나온다. 고려대는 대입 정책을 두고 사사건건 교육부와 대립해 왔다. 학생부종합전형(학종) 비중을 급격하게 올려 학종 논쟁의 중심에 서기도 했으며, 2021학년도 대입에서 정부 권고인 ‘정시 30% 룰’ 대신 학생부교과 30%란 꼼수로 ‘변종 학종’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교육부가 고려대에 상당히 불쾌해했다는 후문이다.

대학가에서는 교육부가 이번 평가에서 고려대를 하위 10개 대학으로 끌어내린 뒤 다시 붙여주는 방식으로 정책 목표를 달성하려 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물론 교육부는 평가지표를 통해 공정히 평가했다는 입장이다. 다만 교육부 관계자는 “고려대도 서울대처럼 정시 30%라는 사회적 합의를 따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변종 학종 논란을 일으킨 고려대의) 학생부교과도 전형의 취지대로 운영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