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딴 이전기관 기능 축소 시도… 전북혁신도시 ‘빈 껍데기’ 될라

입력 2019-06-16 19:31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해 온 기관들이 잇따른 외부 압박에 흔들거리고 있다. 이에 전북도와 지역 정치권은 국가균형발전을 저해하는 처사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16일 전북도에 따르면 자유한국당 최교일 의원 등은 최근 한국농수산대학(한농대)의 분교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법안을 발의했다. 이들은 전북혁신도시에 있는 한농대의 분교를 영남권에 설립하기 위해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에도 농식품부가 추진한 ‘한농대 기능 및 역할 확대방안 연구용역’에도 분교 방안 등이 포함돼 있다. 한국농수산대학은 국립 3년제 대학으로 농어촌발전과 유능한 정예 농업 경영인을 양성하기 위해 1997년 설립돼 2015년 전주로 이전해 왔다.

전북도는 최근 기자설명회를 열고 “농생명산업과 혁신도시의 경쟁력을 키워야 할 중차대한 시기에 한농대 분교 설치는 전북혁신도시의 근본을 뿌리째 흔드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도는 “한농대가 이전한지 이제 5년째”라며 “아직 시설공사도 완료되지 않았다. 지금은 우수인력 유치와 교육 인프라 구축, 정원 확대 등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북 김제·부안이 지역구인 김종회 민주평화당 의원도 “전북혁신도시의 상징이고 전북 도민의 자존심인 한국농수산대학을 분할하려는 시도는 혁신도시 기반을 송두리째 뒤흔들고 전북 도민에게 전면전을 선포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앞서 지난 3월엔 경기도가 ‘5급 승진후보자 자체 교육’을 추진하면서 한바탕 논란이 일었다. 이런 움직임이 다른 지자체로까지 번질 경우 지역 경제에 타격이 우려되자 전북도는 강하게 반발했다. 전북도와 완주군 등은 “관련 교육을 맡아온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의 위상을 뒤흔들고 국가균형발전에 반하는 처사”라고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경기도의 요청에 대해 행정안전부가 ‘승인 보류’ 공문을 보내면서 논란은 일단락됐다. 하지만 ‘불허’나 ‘불가’가 아닌 ‘보류’여서 향후 문제가 재발될 불씨가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지역에서는 “전북혁신도시가 동네북이냐. 가뜩이나 생산성 높은 기관이 적다는 평가를 받는 지역을 ‘빈 껍데기’로 몰아가는 나쁜 움직임”이라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혁신도시 시즌 2를 준비하고 있는 상황에서 혁신도시의 근간을 흔드는 시도들을 결코 용납할 수 없다”며 “도민과 더불어 강력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