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산불 피해지 숲 되살리기, 서울시가 돕는다

입력 2019-06-13 21:35
김재현 산림청장과 박원순 서울시장, 최문순 강원도지사(왼쪽부터)가 13일 서울시청에서 강원도 산불피해지 내 ‘서울의 숲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서에 서명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강원도 산불 산림피해지 안에 ‘서울의 숲’이 조성된다. 서울시는 13일 시청에서 서울의 숲 조성을 위한 ‘서울시-산림청-강원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난 4월 강원도 고성·속초와 강릉·동해·인제 일대를 덮친 대형 산불로 1명이 사망하고 2832ha가 피해를 입었다. 서울시는 이날 협약에 따라 산림피해지에 서울의 숲을 조성하고 연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강원도는 서울의 숲 조성 대상지를 제공하고 조성 후 유지관리를 담당한다. 관광지 주변 등 시급하게 경관 복구가 필요한 국공유림이 서울의 숲으로 선정될 것으로 보인다. 산림청은 산림복구 관련 기술을 지원하기로 했다.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이날 업무협약식에 참석해 “눈물 나도록 고맙다”며 서울시에 고마움을 표시했다. 그는 “가장 복구가 더딘 것이 바로 산림분야”라며 “시간도, 돈도, 인력도 많이 든다. 어렵다. 서울의 숲 조성에 대해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동석한 김재현 산림청장도 “매우 뜻깊은 자리”라며 “지금까지 재난이 발생하면 해당 지자체와 중앙정부가 맡아서 해왔는데 이제는 지역 간에 협력의 장이 열리는 것 같다”고 얘기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숲은 되살아나려면 수십 년이 걸린다”면서 “이번 서울의 숲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이 전국 지자체, 기업, 시민단체 등 자발적 참여 유도를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의 산림을 복구하는데도 좋은 모델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에 산불 피해를 입은 강원도에 서울시가 먼저 손을 내민 것은 지난달 발표한 ‘서울과 지방의 상생을 위한 서울선언문’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박 시장은 서울선언문을 통해 지방에 대한 서울의 책임과 역할을 강조하며 지방상생 문제를 이슈화했다.

지방상생을 위한 서울시 최초의 마스터플랜인 ‘서울시 지역상생 종합계획’도 내놓았다. 서울과 지방 사이의 사람·정보·물자 교류를 확대하기 위해 2022년까지 총 2403억원을 투자하겠다는 내용이다. 이 같은 액수는 서울시가 지난 11년간 지역상생사업을 위해 사용한 대외협력기금 218억원보다 10배나 많은 것이다.

박 시장은 최근 지방상생을 위한 대범한 행보를 계속하고 있다. 지난 7일에는 야당 단체장이 있는 경상북도와 함께 ‘상생 발전을 위한 교류협약’을 맺었다. 또 대권 경쟁자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요구해온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명칭 개정 요구도 동의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