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공동어시장 56년 만에 공영화 된다… 공동법인 청산 합의

입력 2019-06-12 19:17 수정 2019-06-12 20:36

국내 최대 수산물위판장인 ‘부산공동어시장(사진)’이 56년 만에 공영화 된다. 부산시는 부산공동어시장(대표 박극제)의 5개 출자 수협과 ‘부산공동어시장 공영화 및 현대화사업을 위한 협약’을 체결한다고 12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부산·경남지역 5개 수협이 출자해 1963년 개장한 부산공동어시장은 2015년부터 현대화 사업을 추진해 왔으나, 지분을 나눠가진 수협 등의 입장이 달라 사업이 지연돼 왔다. 대형선망과 대형기선저인망, 부산시수협, 경남정치망, 서남구기선저인망까지 성격이 다른 5개의 수협이 동일 지분을 갖고 운영돼온 공동어시장은 각 수협의 이해관계가 달라 효율적인 의사결정이 어려운 구조다.

특히 현대화사업과 관련해 지난해 이를 위한 설계를 마쳤으나 공동어시장에서 요구하는 시설 규모를 모두 반영하려면 1169억원의 사업비가 필요하고, 규모를 축소해도 약 440억원 이상의 증액이 필요한 상황이어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부산 수산업은 연근해 자원량 감소, 한·일 어업협정 협상 지연 등으로 대내외적으로 위기에 직면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지역 수산업계와 시민단체 등은 부산 수산업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공동어시장이 변해야 한다는 요구를 지속적으로 해왔다.

공동어시장의 공영화 및 현대화에 대해 오거돈 부산시장은 “시민들에게 사랑받고 후세에 자랑스럽게 물려줄 수 있는 세계적인 명품어시장으로 만들기 위해 공동어시장 공영화와 현대화 사업은 반드시 성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3일 열리는 협약식에서 공개될 협약서에는 부산공동어시장 조합공동사업법인 청산이라는 기본원칙에 합의하고 청산은 어시장 가치 산정 후 청산계약을 통해 확정하며, 청산을 위한 세부방법 등은 청산계약서에 별도로 명시한다는 내용 등이 담길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협약이 체결되면 공동어시장 혁신의 첫 단추가 끼워지는 셈”이라며 “어시장 측과 협력해 공영화 및 현대화가 성공적으로 추진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1963년 11월 개장한 부산공동어시장은 총면적 4만3134㎡로 하루 최대 위판량이 3200t에 달하지만 최근 들어 위판 실적이 갈수록 떨어지며 적자가 지속됐다. 비위생적 위판 시스템과 설비 노후화 등으로 공영화와 현대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계속 제기돼왔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