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회 전문 연수기관 설립해야” 목소리

입력 2019-06-10 18:45
지방의회 의원과 직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전문 연수기관을 설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커지고 있다.

전북도의회는 송성환 의장과 송지용 부의장이 최근 윤종인 행정안전부 차관을 만나 전북에 가칭 ‘지방의정연수원’을 설립해 줄 것을 건의했다고 10일 밝혔다. 도의회는 송 의장 등이 “‘3640여명에 달하는 전국 지방의원과 7000여명의 의회 사무직원의 의정 역량 강화를 위해 연수기관 설립이 절실하다’며 이같이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도의회는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이 있는 전북혁신도시 인근에 지방의정연수원을 설립하면 개발원의 숙박시설과 교육시설, 프로그램, 교수진 등을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윤 차관은 지방의회 연수기관 또는 센터 설립에 공감하며 함께 노력하자고 답했다고 도의회는 전했다.

앞서 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는 지난 4월 26일 임시회에서 지방의정연수원 설립 촉구 건의안 등 10개 안건을 의결했다. 전북도와 완주군, 남원시 등도 지방의정연수원의 전북 설립을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현재 지방의회는 주로 국회의정연수원과 지방자치인재개발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관의 경우 국회의원 보좌직원과 국회사무처 직원, 지방공무원들을 주요 대상으로 하고 있어 지방의회 교육프로그램은 일회성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북연구원 조사 결과 지방의회 4~6기 동안 기수마다 평균 1만6422건의 교육연수가 이뤄졌지만 70.9%가 일회적 간담회였다. 지방의원과 전문위원은 4년간 연 1회 연수를 받지만 일반 직원은 연 0.6회에 그치는데다 3일 이내의 짧은 교육이 90% 가까이 됐다.

국회는 2017년 3월 384억여원을 들여 강원도 고성에 연수원(분원)을 지어 국회의원과 의원 보좌직원, 사무직원들의 연수에 활용하고 있다. 송성환 전북도의회 의장은 “지역주민의 다양한 정책수요 대응을 위해 지방의회의 연수를 전문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연수기관 건립이 반드시 필요하며 그 최적지는 전북”이라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