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6일 현충일 추념사에서 약산 김원봉(1898∼1958)을 언급하며 그가 창설한 독립무장부대를 대한민국 국군의 기원 중 하나로 평가했다. 6·25 순국선열 등을 추모하는 국가 행사에서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한 논쟁적 인물의 공적을 거론한 것이다. 김원봉 독립유공자 서훈 논란을 둘러싼 ‘역사 전쟁’에 문 대통령이 직접 뛰어든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보수 야권은 “현충일에 북한 6·25전쟁 공훈자에게 헌사를 바쳤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문 대통령은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4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임시정부는 좌우 합작을 이뤄 광복군을 창설했다”며 “광복군에는 무정부주의 세력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이어 김원봉 선생이 이끌던 조선의용대가 편입돼 마침내 민족의 독립운동 역량을 집결했다”고 말했다. 이어 “통합된 광복군 대원들의 항쟁의지, 연합군과 함께 기른 군사적 역량은 광복 후 국군 창설의 뿌리가 되고, 나아가 한·미동맹의 토대가 됐다”고 했다. 광복군이 국군의 뿌리라는 인식을 재확인하는 동시에 그 역사적 기원을 김원봉으로까지 연결시킨 것으로 비친다. 문 대통령이 공식석상에서 ‘김원봉’ 이름을 꺼낸 건 취임 후 처음이다.
앞서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였던 2015년 8월 페이스북에 “김원봉(사진) 선생에게 최고급의 독립유공자 훈장을 달아드리고 술 한잔 바치고 싶다”는 글을 올린 적이 있다. 김원봉은 1919년 의열단을 조직해 항일무장투쟁을 벌였으며, 해방 후 월북해 국가검열상,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지냈다. 1958년 김일성의 옌안파 제거 때 숙청됐다.
야당은 문 대통령이 김원봉 서훈 이슈 부각을 위해 작심하고 발언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원봉 서훈 반대에 앞장서온 지상욱 바른미래당 의원은 “올 8·15 광복절이든 기회를 봐서 김원봉에게 건국훈장을 주겠다고 선언한 것과 다름없다”며 “6·25전쟁 공훈으로 북측 훈장까지 받은 사람에게 건국훈장을 준다는 것이 말이 되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희경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6·25에서 전사한 호국영령 앞에서 김원봉에 대한 헌사를 낭독한 대통령의 역사 인식에 기가 막힐 노릇”이라는 논평을 냈다. 이종철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대통령이 보수, 진보 편 가르기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좌우 이념 갈등을 극복하고 애국에 뜻을 모으자는 취지”라고 반박했다. 이해식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김원봉의 월북 이후 행적을 끌어들여 광복군운동 자체를 색깔론으로 덧칠하는 일이야말로 역사 왜곡”이라며 청와대를 엄호했다.
지호일 이종선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