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 최대 격전지인 부산·울산·경남(PK)을 사수하기 위한 여권의 발걸음이 분주해지고 있다. PK는 ‘전국정당’을 내건 더불어민주당의 전략적 요충지이자 문재인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이다. 원내 제1당 자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수해야 하는 지역이지만, 최근 들어 당 지지율과 대통령 지지율이 하락했다. 당내에서는 공공기관 이전 등 PK 민심을 붙잡을 정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최근 민주당 소속 PK 의원들은 지역구 관리에 ‘올인’하다시피 하고 있다. 박재호 의원(부산 남구을)은 6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금 PK 지역이 다 어려우니까 지역구 민심을 좀 들어봐야 한다”며 “자동차·조선산업의 1·2차 협력업체가 부산에 많은데 산업이 어려워졌고, 소매상도 어려운 상황이다. 경기 침체로 상실감, 박탈감이 크다”고 전했다.
김영춘 의원(부산 진구갑)은 “지역 경제가 안 좋으니까 여론이 호의적이진 않다”며 “집권 기간도 2년이 지나면서 정권에 책임을 묻는 여론이 높다. 아무래도 여당 입장에서는 안 좋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민주당 경남도당위원장인 민홍철 의원(경남 김해갑)은 “계량적 지지율은 30% 수준으로 이전과 비슷하지만 기대감은 예전만 못하다”며 “경제가 안 좋다는 것은 ‘상수’다. 올해 12월과 내년 설 전후의 이슈가 뭔지, 여론이 어떻게 될지가 중요한 변수”라고 했다.
민주당 지도부와 PK 의원들은 5일 PK 민심과 관련해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기도 했다. 회의에 참석했던 전재수 의원(부산 북·강서구갑)은 “주민들은 공공기관 지방 이전과 동남권 신공항 추진, 경부선 철도 지하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며 “특히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적극 건의했고 당 지도부도 적극적으로 동의했다”고 전했다. 민주당 소속 PK 광역단체장과 의원들은 지난달 27일 국회에 총출동해 동남권 신공항 입지를 다시 선정해야 한다고 요구하기도 했다.
중앙당과 시당 차원의 정책 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다. 해양수산부 장관을 지낸 김영춘 의원이 민주당 부산시당 싱크탱크인 ‘오륙도연구소’ 소장을 맞아 지역 밀착형 정책과 공약을 개발하고 있다. 당 싱크탱크 민주연구원의 양정철 원장도 다음 주 시·도 소속 연구기관 간 업무 협약식을 위해 부산·경남을 방문해 김경수 경남지사와 오거돈 부산시장과 면담할 예정이다.
PK는 전통적으로 민주당의 ‘험지’였다. 하지만 민주당은 20대 총선 당시, PK에서 약진하면서 원내 1당이 될 수 있었다. 민주당 내에서는 한국당이 PK를 석권할 경우, 지역주의가 다시 힘을 얻게 될 것이라는 우려도 크다. 민주당은 “아직 여론은 팽팽하다”는 입장이지만, 자유한국당에서는 “PK는 이미 우리 쪽으로 넘어왔다”는 말도 나온다.
PK는 문재인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이기도 하다. 문 대통령도 5일 창원을 방문하는 등 지난해 12월 이후 PK를 일곱 차례 방문했다. 청와대가 법무법인 부산 출신인 김외숙 인사수석을 최근 임명하고, 대통령 새 주치의에 강대환 부산대 의대 교수를 위촉한 것도 PK에 대한 정치적 고려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PK 경제가 단기간에 좋아지는 것도 쉽지 않고 신공항에 올인하는 것은 타 지역의 반발 등으로 청와대의 부담을 가중시킬 수도 있다”며 “집권당다운 안정감과 책임감, 이를 반영하는 무게감 있는 인사의 과감한 투입을 포함한 공천 전략이 필요하다”고 했다.
임성수 김성훈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