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굿둑 32년 만에 6일 시범 개방… 농민들 강력 반발

입력 2019-06-04 19:38 수정 2019-06-04 20:38

낙동강 하굿둑이 완전개방을 앞두고 염분피해 등을 조사하기 위해 준공 32년 만에 시범 개방된다. 그러나 낙동강 하굿둑 수문을 개방할 경우 토양오염 등을 우려하는 농민들의 반발로 충돌이 우려되고 있다.

부산시는 4일 “환경부와 바닷물 수위가 하굿둑 내측 담수 수위보다 높아지는 6일 밤을 수문 개방 시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와 환경부를 포함한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한국수자원공사 등 5개 기관 협의체는 6일 오후 10시40분부터 40여분간 수문 10개 중 1개를 개방하기로 했다. 1987년 건설된 낙동강 하굿둑이 수위 조절 목적을 제외하고 열리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수문 개방이 다소 늦은 밤에 이뤄지는 건 해수 밀물 때를 맞추기 위해서다. 이들 기관은 하굿둑 기준 담수면 내측 3㎞까지 해수를 흘려보내 염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바닷물 유입 수준과 담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하굿둑 수문은 하반기인 오는 9월 한 차례 더 열 계획이다. 내년에도 시범 개방 일정이 잡혀 있다.

시범 개방을 통해 기수역(해수와 담수가 만나 다양한 염생식물 등 생명체가 터전을 이루는 독특한 생태 지형)의 복원 가능성을 중점적으로 살피고, 2020년 12월까지 그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이후 대통령 직속 국가물관리위원회 등과 협의를 거쳐 2025년 완전개방한다는 게 시의 방침이다.

수문개방을 요구해온 낙동강하구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 등 60여개 환경·시민 단체는 낙동강 하굿둑 개방을 염원하는 시민선언 등을 수문개방에 맞춰 발표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수문개방에 반대하는 농민과 인근 주민을 대상으로 수 차례 간담회를 열어 충분히 설명했다”며 “농민들의 우려를 고려해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개방 실증 실험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낙동강 하굿둑 인근 농민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농민들은 수문을 개방하면 해수 염분이 토양과 지하수에 스며들어 농업용지에 막대한 피해를 끼친다고 주장하며 수문 개방을 강행할 경우 온몸으로 반대하겠다는 입장이다.

부산 사하구와 강서구를 있는 낙동강 하굿둑은 길이 2400m, 높이 18.7m의 콘크리트 중력댐으로 1983년 9월 착공해 1987년 11월 준공됐다. 유역면적은 2만3560㎢, 총 저수량은 500만t, 용수공급량은 6억4800만t이다. 둑의 상부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이용되고 있다.

하굿둑은 그동안 바닷물의 역류현상을 막아 낙동강 하류지역과 부산시민에게 식수와 생활용수, 농업용수를 공급해 왔고, 울산시와 경남 창원시·김해시 등의 공단에 공업용수를 제공해 왔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