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가스냉방 보급을 대폭 늘린다. 가스냉방 보급량을 2030년까지 약 5.7배 확대한다. 한국은 에어컨 등 전기를 사용하는 냉방기기를 주로 쓰기 때문에 폭염이 발생하는 여름철에 전력 수요 급증에 따른 ‘블랙아웃(대정전)’ 발생 위험이 높다. 정부는 가스냉방 보급이 늘면 원자력발전소 6기 만큼의 전력 수요를 줄일 수 있다고 추산한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정부는 현재 460만RT(냉동t) 수준인 가스냉방 용량을 최대 2600만RT로 확대하는 걸 추진 중이다. 하반기 발표할 예정인 ‘가스냉방 중·장기 보급확대방안’의 핵심 축이다. 가스냉방은 전기 대신 가스로 냉방기기를 작동한다. 전기냉방보다 냉방비가 20% 이상 싸고, 도시가스로 공급이 가능하다. 때문에 전력 수요량을 줄이는 대체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산업부는 2600만RT까지 보급을 확대하면 6GW 정도의 전력을 대체할 것으로 본다. 원전 6기(1기당 1GW)가 생산하는 전력량에 버금간다.
가스냉방은 초기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단점 때문에 보급에 어려움을 안고 있다. 가스냉방기기를 예열하는 데만 1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즉시 냉방 효과를 거두기도 힘들다. 이런 이유로 민간에서 사용을 꺼린다.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2017년 기준으로 전체 냉방에너지 가운데 가스냉방은 7.2%에 그쳤다. 가정용 전력수요를 대체할 수 없다는 한계도 있다. 가스냉방기기는 기본 용량 자체가 커서 대형건물 위주로만 설치할 수 있다.
산업부는 이런 특성을 고려해 학교 등 공공기관과 상업용 건물에 설치된 냉방기기를 가스냉방으로 우선 교체할 예정이다. 설치 보조금 지급, 공공기관 가스냉방 설치 의무화 등으로 고려 중이다. 가스냉방기기를 설치했을 때 주는 인센티브를 더 높이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현재 정부는 민간에서 가스냉방기기를 설치하면 비용의 약 10%를 보조해 준다. 가스요금도 깎아준다. 산업부 관계자는 “현재도 10년 동안 가스냉방을 가동하면 전기냉방 비용보다 16~23% 저렴하다. 보급 확대를 위해 추가로 지원할 부분이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