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이 원활한 의무교육을 위해 초·중·고 통폐합 작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동문회와 학부모, 학생들의 반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30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교육통계를 내기 시작한 1987년 이후 광주지역 취학 학생이 처음 20만명 이하로 줄었다. 이를 계기로 시교육청은 교육의 질 하락을 막기 위해 4곳 8개교에서 통폐합 작업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100여년의 역사에도 도심공동화로 인해 미니학교로 전락한 서석·중앙초는 동문회 등의 반발로 통폐합 작업이 난항에 빠졌다. 광산지역의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천곡·첨단중과 학년별 학생수 불균형이 심화된 삼정·율곡초 2곳 역시 학생·학부모들의 반대로 물 건너갔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나머지 대상지인 상무·치평중 1곳은 사회적 논의기구를 만들어 효율적 통폐합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으나 사실상 공회전만 거듭하고 있다. 해당 학교 학부모들은 비상대책위를 꾸려 조직적 반대활동을 펼치고 있다. 학부모들은 “그동안 사전 설명회를 열지 않다가 갑자기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통폐합 방침을 홍보해 혼란만 키웠다”며 통폐합 백지화를 주장하고 있다. 1985년 30학급 규모로 개교한 상무중은 현재 13학급, 1991년 3월 문을 연 치평중은 24학급에서 15학급으로 학생 수가 감소했다. 시교육청은 흡수 폐교될 학교선정과 추진방법, 일정 등을 학부모·지역주민 대표, 지방의원 등으로 구성할 사회적 기구에서 논의하기로 했지만 진통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교육청은 4곳 8개교의 통폐합이 성사될 경우 교육력 제고와 지역발전을 앞당길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해당 학부모와 학생 등 학교 구성원들은 “일방적 혹은 밀실 통폐합은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서고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특수학교 설립과 연동된 학교 재구조화 차원에서 통폐합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앞으로 공청회 등을 열어 학부모·학생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