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적분할, 현대중·대우조선 통합 효과 극대화 목적

입력 2019-05-30 04:06
사진=뉴시스

현대중공업이 지난 1월 대우조선해양 인수 절차를 시작한 지 4개월이 지났다. 당시만 해도 세계 1위 조선사 출범을 예고해 기대를 모았지만 고용 불안 등을 우려한 양측 노조의 반발이 거세 난항을 겪고 있다.

현대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한국 조선업계의 경쟁력 제고’다. 글로벌 수주전에서 국내 업체 간 출혈 경쟁을 피하기 위해서다. 업계가 불황으로 수년간 어려움을 겪으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체질개선 필요성이 대두됐다. 현대중공업그룹이 물적분할을 통해 한국조선해양지주를 설립하고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을 수평적 형태로 지배하는 구조는 통합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게 목적이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산업 전체의 발전을 위해 새로운 구조를 추진하는 것”이라며 “시너지 효과와 경쟁의 효과를 함께 살려나가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양사 직원들 입장에서는 구조조정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인수·합병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일정 부분 ‘효율성 제고’를 위한 슬림화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현대중공업이 공동사장 명의로 고용승계를 약속했지만 구성원들은 믿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대우조선해양의 경우 구성원들이 회사에 일종의 배신감을 느끼고 있는 면도 있다”면서 “열심히 일해 어려웠던 회사를 살려놨더니 경쟁 업체에 매각해 고용 불안감을 야기했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울산시의 반발은 지역경제 불안과 맞닿아 있다. 물적분할을 통해 설립되는 중간지주회사 한국조선해양이 서울에 설립될 경우 인력 유출과 법인세 축소 등 부정적 효과가 뒤따를 것이라는 우려다. 하지만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핵심 연구·개발(R&D) 인력 확보와 인프라 등의 문제 때문에 한국조선해양 본사가 서울·수도권을 벗어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전했다.

양측 노조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물적분할은 임시주총을 통과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중공업의 2대 주주인 국민연금은 29일 수탁자책임 전문위원회 회의를 열고 현대중공업의 ‘분할계획서 승인, 이사 선임’ 안건에 찬성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 측도 “물적분할은 예정대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는 입장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이날 성명을 내고 “노조의 비합리적인 반대와 불법적 파업행위로 기업 결합이 무산되고 지장을 받게 되면 말뫼의 눈물을 안겨줬던 우리 조선산업이 종국적으로 말뫼의 눈물을 스스로 흘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