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 준공영제를 도입한 15개 버스노사 양측이 28일 예정된 3차 조정회의를 취하해 오는 30일 예고됐던 파업이 유보됐다. 그러나 노조 측은 다음 달 15일로 예정된 준공영제 미도입 버스노조와 사측 간 임금 관련 조정회의에 합류하겠다고 밝혀 파업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있다.
28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 등에 따르면 한국노총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과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은 이날 열릴 예정이었던 주 52시간 도입에 따른 임금협상 3차 조정회의를 취하했다. 이에 협의 결렬 시 오는 30일 예고됐던 14개 시·군 버스업체의 광역버스 589대, 조합원 1300여명의 파업은 철회됐다.
앞서 지난 14일 국토교통부와 경기도는 오는 9월부터 시내버스와 광역버스의 요금을 각각 200원, 400원씩 올리기로 합의했다. 이를 바탕으로 버스노조와 사측은 임금 협상을 진행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28일까지 협의를 연장한 바 있다.
노조 관계자는 “오는 7월부터 주 52시간제가 도입되면 도내 대다수 버스업체 기사들이 기존에 수령하던 임금 수준과 큰 격차가 벌어진다”면서 “다음 달 15일 준공영제 미도입 300인 이상 사업자와 버스노조 간 1차 조정회의 때 도내 준공영제 도입 15개 버스노조의 임금인상 문제도 함께 거론하기 위해 3차 조정회의를 일단 취하했다”고 밝혔다.
오는 7월부터 도내 300인 이상 사업장에 주 52시간제가 도입되면 현재 주 68시간까지 가능한 근로 시간이 줄어들어 1일 2교대 근무체계로 변경이 불가피하다. 전체 운전자 1만2256명의 18.4∼31.5%인 2250~3862명의 추가 운전자를 확보해야 하는 상황이다. 개별 기사들의 임금은 80만원가량 줄어든다.
준공영제 미도입 버스노조는 인력 확충과 임금 보전 등을 요구하기 위해 다음 달 15일 사측과 1차 조정회의를 가질 계획이다. 노조는 임금 조정 등 근무여건이 개선되지 않으면 7월 1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사측은 대규모 인력을 충원하고 임금까지 인상할 재정적 여력이 없다며 난색을 표시하고 있다.
경기도의 준공영제 미도입 300인 이상 사업장 20곳의 버스는 총 6447대로 전체 시내버스 1만584대의 61% 규모다. 만약 협상이 결렬되면 도내 시내버스를 비롯해 광역버스까지 파업에 돌입하게 돼 교통 대란이 예상된다. 노조 관계자는 “서울시 운수종사자 임금 수준과 비슷한 임금이 책정되지 않으면 협의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7월 1일 파업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