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모든 인프라, 혁신기술 테스트베드로 제공한다

입력 2019-05-27 21:41
서울시 전체가 혁신기업에 개방되는 거대한 테스트베드가 된다. 사진은 지난 4월 박원순 서울시장이 ‘글로벌 톱 5 창업도시 서울’ 추진계획을 발표하는 모습. 국민일보DB

서울 지하철과 도로, 한강교량 등 공공인프라와 행정 시스템들이 혁신기업에 개방돼 서울 전체가 거대한 테스트베드가 된다. 서울시는 2023년까지 1500억원을 투입해 혁신기업의 신제품·신기술 개발을 지원키로 했다.

서울시는 시정 모든 현장을 혁신기술로 탄생한 시제품과 서비스의 성능·효과를 시험하는 ‘테스트베드’로 개방한다고 27일 밝혔다. 지하철이나 도로, 한강교량 등 공공인프라부터 행정시스템까지 시정 곳곳에서 테스트베드를 구축한다.

올해는 100억원을 투입해 50개 기업을 지원하고 2023년까지 1500억원을 지원해 1000개 이상의 혁신기업 성장을 이뤄내겠다는 목표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4월 ‘글로벌 톱 5 창업도시 서울 추진계획’을 발표하며 창업기업 지원을 통해 이들이 도시문제 해결의 기술력을 높이는 기회로 만들어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테스트베드 서울은 실증 기회와 사업비를 종합 지원받을 수 있는 ‘R&D(연구개발)지원형’, 서울시가 실증 장소만 제공하는 ‘기회제공형’ 두 가지로 추진된다. 기회제공형의 경우 기존 대기업과 중견기업도 참여가 가능하다.

테스트베드 서울 참여를 원하는 기업은 1년 365일, 24시간 언제든지 ‘신기술 접수소’라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접수가 이뤄지면 전문 평가위원회가 8주 이내에 평가를 진행하고 최대 1년간 테스트베드를 제공한다. 실증을 통해 성능과 안전성이 검증된 제품에는 ‘성능확인서’도 발급해 준다. 또 서울시 전 기관과 부서가 ‘혁신제품 구매 목표제’를 도입해 적극적으로 공공구매에 나선다. 실증지원과 공공구매를 부서 평가지표에도 포함해 우수한 부서와 담당자에게는 인센티브도 부여한다는 계획이다. 공공구매 촉진을 위해 혁신제품·서비스에 대한 수의계약 한도액을 법정 최고액인 2000만원(현재 1500만원)으로 상향한다.

시제품이나 서비스 실증 전반을 담당할 기구도 신설한다. 서울시는 서울산업진흥원에 ‘테스트베드 사업단’을 조직해 오는 7월부터 운영에 들어간다. 부서 간 협업 조율을 총괄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조인동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서울의 모든 공공 인프라를 혁신기술 테스트베드로 개방하고 시가 가진 방대한 정보, 구매 역량을 적극 활용해 지원할 것”이라며 “서울시의 ‘테스트베드 서울’ 선언이 타 지자체, 중앙정부로 확산돼 기술창업기업들에 성장동력을 제공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