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사망 60%는 추락사… 소규모일수록 위험도 높아

입력 2019-05-26 19:04

지난해 산업재해 사망 사고의 절반은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건설현장에서 사망한 이들 10명 가운데 6명은 추락 사고를 당했다. 소규모 공사장일수록 추락 사고 위험도가 더 높았다. 사고를 예방하려면 안전 시설을 철저히 갖출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뒤따른다.

26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현장 사망자는 485명이다. 전체 산업재해 사망자(971명) 중 49.9%가 건설현장에서 사망했다. 다양한 건설현장 안전사고 유형 가운데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사고로는 추락 사고가 꼽힌다. 건설현장에서 사망한 이들 중 59.8%(290명)가 추락 사고가 원인이었다.

통계로만 보면 대형 건설현장보다는 규모가 작은 건설현장이 더 위험하다. 공사금액 20억원 미만 건설현장에서 추락 사고로 사망한 이들은 180명이었다. 건설현장 추락 사고 사망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공사금액이 작을수록 안전 문제에 소홀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이재갑 고용부 장관은 지난 8일 건설업계 최고경영자(CEO)들과 만난 자리에서 “3억~120억원 미만 건설현장 7만3000곳에서 사망사고가 빈번하다”며 “행정 역량을 이 부분에 집중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추락 사고 위험이 적은 시스템비계가 대표적인 방지 시설이다. 하지만 가격이 비싸다보니 중소 건설현장에서는 법적 기준에만 맞춘 일반 비계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작은 현장에서는 아직 일반 강관비계를 사용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고 전했다.

때문에 안전보건공단의 ‘건설업 클린 사업’과 같은 지원책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는 제안이 나온다. 건설업 클린 사업은 20억원 미만 건설현장이 시스템비계 등을 설치할 때 필요한 비용의 최대 65%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안전보건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지원한 건설현장 수는 2639곳에 이른다. 안전보건공단 관계자는 “지원을 받아서라도 안전 조치를 해야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신준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