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민생투쟁 일정 때문에”… 봉하엔 조화만

입력 2019-05-23 18:36
사진=뉴시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는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0주기 추도식이 열린 23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 대신 강원도 철원 감시초소(GP) 철거 현장과 고성 산불피해 지역을 찾았다. 그 자리에서 현 정부의 대북·안보 정책 등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여권 중심 행사인 추도식에 ‘환영받지 못하는 객(客)’으로 앉아 있는 것보다 여권과 대립각을 세우는 행보를 택한 것이다.

황 대표는 이날 오후 고성 토성농협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문재인정부는 북한 눈치를 살피느라 우리 군을 뇌사 상태로 만들고 있다. 이런 정권을 믿고 잠이나 편히 잘 수 있겠나”라고 따졌다. 그는 “(군은) 북한이 쏜 미사일을 아직도 분석 중이라는 말만 하고 있고, 지난 3월 스텔스 전투기 F-35를 도입하고도 아직 전력화 행사조차 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국정을 함께 이끌어야 할 야당은 줄기차게 공격하면서 국민을 위협하는 북한 독재 정권에 대해서는 앞장서서 감싸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야당을 공격할 노력의 100분의 1이라도 핵 개발 저지와 북한 인권 개선에 쓰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황 대표는 앞서 오전 전투복과 방탄헬멧을 착용하고 GP 철거 현장을 방문해 “정치권에서는 평화를 얘기해도 군은 (방어태세 약화를) 막자고 말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황 대표는 이후 추도식 불참 배경을 묻는 기자들 질문에 “노 전 대통령님의 화합과 통합 정신을 기리고 있다. 저는 민생투쟁 대장정 일정으로 참석하기 어려워 우리 당 대표단을 만들어 보냈다”고 답했다.

한국당은 추도식에 조경태 최고위원을 단장으로 한 추모단을 참석시켰다. 황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는 조화(사진)만 보냈다. 나 원내대표는 국회 회의 때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추진, 제주 해군기지 건설 등 신념과 현실의 충돌 앞에서 용감한 결단을 내렸던 노 전 대통령의 정신이 유독 떠오르는 요즘”이라며 “문재인정부는 오늘 하루만큼은 참여정부의 정책적 유연성을 생각해보기 바란다”고 말했다.

지호일 김용현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