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방 불균형 해소” 2403억 들여 상생 나선다

입력 2019-05-22 21:54
박원순 서울시장은 22일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서울-지방 상생발전 좌담회’를 열고, 상생협력을 위한 서울시와 25개 자치구의 책임과 정책방향을 담은 ‘서울-지방 상생을 위한 서울선언문’을 선포했다. 서울시 제공

“서울은 홀로 성장하지 않았습니다.”

22일 오전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의미있는 문서가 발표됐다. 서울시와 25개 구청이 함께 작성한 ‘서울과 지방의 상생을 위한 서울선언문’으로 오늘날 서울의 성장이 지방의 헌신과 희생을 바탕으로 이룩한 성과라는 점을 명시하고 지방에 대한 서울의 책임과 역할을 강조했다.

“이제 지방의 희생을 바탕으로 이룩한 성과를 지방에 돌려드리겠습니다. 사람들이 고향으로 돌아가 자신의 꿈을 이루고,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아낌없이 돕겠습니다.”

서울시는 이날 선언문과 함께 ‘서울시 지역상생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지방과의 상생을 위해 2022년까지 총 2403억원을 투자해 36개 사업을 추진한다는 내용이다.

서울시가 지역상생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마련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4년간 2403억원이라는 예산 규모도 파격적이다. 서울시는 2008년부터 지역상생사업을 위해 대외협력기금을 조성했는데 지난해까지 11년간 사용한 기금이 218억원이었다.

종합계획은 사람·정보·물자 교류를 확대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특히 물자 교류 위주에서 탈피해 인적 교류에 힘을 싣는다. 지방에서 취업이나 창업을 꿈꾸는 서울 청년들을 발굴하고 지원해 새로운 일자리 기회를 주고 이들을 통해 침체됐던 지방에 활력을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먼저 연간 100명의 서울 청년을 선발해 창업자원 조사부터 아이디어 구체화, 사업모델화를 위한 인큐베이팅까지 단계별로 지원한다. 선발된 팀은 사업비로 연 2000만∼5000만원을 지원받는다. 또 연간 200명 내외를 선발해 지방도시의 소셜벤처나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등과 연계해 일자리를 제공한다. 서울시와 해당 지자체가 기업에 인건비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귀농·귀촌 지원은 체류형을 가미해 보다 세밀해진다. 서울시민이 지역에서 단기 농촌살이를 체험해볼 수 있는 ‘서울농장’을 연내 충북 괴산과 경북 상주, 전남 영암 3곳에서 선보이고 2022년까지 총 10곳으로 확대한다.

물자 교류 차원에서는 2021년 마곡지구에 문을 여는 농업 종합 플랫폼인 ‘농업공화국(가칭)’이 주목된다. 서울시는 이곳을 지역 농특산물 홍보·판매거점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서울선언문 선포식이 끝난 후엔 서울시구청장협의회 회장단과 전국 29개 기초자치단체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상생발전 좌담회’가 이어졌다. 이 자리에서 박원순 시장은 “서울시장이지만 지방분권론자로서 서울시내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을 지지하고, 수도권 규제 완화에 반대해 왔다”면서 “지방이 발전하고 살아나면 그 힘이 서울에 선순환으로 오게 된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황명선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사무총장(논산시장)은 “서울에서 시장님과 구청장협의회가 지방과 더불어 잘 사는 대한민국을 만들자고 선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대한민국의 희망을 만들어가는 출발점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얘기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