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주력 3개사 창출 사회적 가치는 연 12조3327억원

입력 2019-05-21 20:04 수정 2019-05-21 20:07
이형희 SK수펙스추구협의회 SV위원장이 21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열린 ‘SK 사회적 가치 측정 설명회’에서 SK그룹이 만들어낸 사회적 가치의 측정 취지와 방식, 측정 결과와 향후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SK 제공

SK그룹이 ‘사회적 가치’를 수치화해 처음으로 공개했다. SK는 사회적 가치를 지속적으로 추구하기 위해서는 평가 지표와 측정 기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SK는 16개 주요 관계사가 지난해 창출한 사회적 가치 측정 결과를 순차적으로 공개한다고 21일 밝혔다. 우선 주력 계열사인 SK이노베이션, SK텔레콤, SK하이닉스의 사회적 가치를 가장 먼저 공개했다.

SK는 사회적 가치 측정 기준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눴다. 기업 활동을 통해 경제에 간접적으로 기여하는 ‘경제간접 기여성과’, 제품·서비스 개발 및 생산·판매를 통해 발생한 사회적 가치인 ‘비즈니스 사회성과’, 사회공헌 활동으로 창출한 ‘사회공헌 사회성과’ 등이다.

세부적으로 경제간접 기여성과의 측정 항목은 고용, 배당, 납세 등이다. 비즈니스 사회성과는 환경, 사회, 거버넌스 부문을 측정한다. 사회공헌 사회성과의 측정 항목은 기업의 사회적책임(CSR) 프로그램, 기부, 구성원들의 자원봉사 관련 실적이다. 이형희 SK수펙스추구협의회 SV위원장은 “SK가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이유는 기업이 경제적 가치와 마찬가지로 더 많은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내려면 지표와 기준점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SK이노베이션은 경제간접 기여성과 2조3000억원, 비즈니스 사회성과 -1조1884억원, 사회공헌 사회성과 494억원을 창출했다. SK텔레콤은 경제간접 기여성과 1조6000억원, 비즈니스 사회성과 181억원, 사회공헌 사회성과 339억원을, SK하이닉스는 경제간접 기여성과 9조9000억원, 비즈니스 사회성과 -4563억원, 사회공헌 사회성과 760억원을 만들어냈다.

SK이노베이션과 SK하이닉스의 비즈니스 사회성과가 마이너스(-)로 나온 것은 생산 공정에서 불가피하게 나오는 온실가스 등 오염물질 배출량이 환경 항목의 측정값으로 환산되기 때문이라고 SK는 설명했다. SK 관계자는 “각 사는 이번에 산출한 측정값을 기준 삼아 개선 목표를 정하게 된다”며 “마이너스 요소(오염물질 배출량)는 줄이고, 친환경 사업모델을 확대하는 등 플러스 항목을 늘리는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지난해 일시 통신장애로 고객들에게 제공한 피해 보상액 등은 마이너스 성과로 측정했다.

SK는 사회적 가치 측정 방식이 아직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경제적 가치와 함께 사회적 가치를 일종의 재무제표 형태로 작성해 공개하는 방안을 회계학자들과 공동 연구 중이라고 밝혔다.

최태원 SK 회장은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것은 목표를 정해 모자란 부분을 개선할 의지가 있다는 것”이라며 “시스템이 완벽하지 않더라도 일단 시작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