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우 침수 걱정마세요”… 서울시 자치구별 ‘예측시스템’ 가동

입력 2019-05-20 21:03

서울시가 올 여름부터 호우시 자치구별로 침수위험을 예측한다. 근래 들어 기습적이고 국지적인 호우가 잦아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자치구별 예측으로 사전 대응이 빨라질 수 있다.

서울시는 20일 ‘2019년 풍수해 안전대책’을 발표하고 25개 자치구별 강우량과 침수위험지역을 예측하는 ‘침수예측시스템’을 개발해 즉시 가동한다고 밝혔다.

침수예측시스템은 기상청 레이더 자료를 활용해 비구름의 이동경로를 모니터링해 시간 단위로 자치구별 침수위험도를 예측한다. 수도권 지역에서 서울로 유입될 수 있는 강한 비구름의 이동경로를 추정해 자치구별 강우량을 한두 시간 전에 예측하고 방제능력 등을 검토해 침수위험도를 확정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8월 28일 발생한 집중호우 데이터를 예측시스템에 적용한 결과, 오후 4시 기준으로 1시간 후 비구름이 서울 남북지역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했고 실제로 오후 5시 북쪽의 강북·도봉, 남쪽의 금천·관악·서초에서 시간당 10㎜ 이상의 비가 내렸다.

침수위험이 예상되는 자치구에는 사전 대응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위험상황을 통보하고 예비비상을 발령한다. 서울시는 한국수자원공사(K-water)와 업무협약을 통해 도시홍수관리시스템 자료를 제공받아 예측시스템의 내실을 기했다. 또 강우량과 강우지속시간에 따른 80종의 시나리오를 마련하고 각 시나리오별 침수위험도도 새롭게 작성했다.

기상청은 그동안 서울 25개 자치구 중 한 곳이라도 해당될 경우 서울 전역에 호우주의보나 경보를 발령했다. 그러나 서울시내라고 해도 침수위험과 방재성능에 차이가 있는 게 현실이다. 시는 새로 도입한 침수예측시스템을 활용하면 자치구별로 정확한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홍봉 서울시 치수계획팀장은 “서울에 호우주의보가 발령됐다고 해도 자치구별로 침수위험도에 차이가 날 수 있고, 침수위험이 큰 자치구엔 비상단계를 더 격상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갑자기 불어난 물로 인해 발생하는 하천 내 고립사고 예방을 위해 지난해 5개 하천 50곳에서 시범운영을 시작한 ‘하천 진출입 원격차단시설’은 올해 불광천 등 사고발생이 높은 11개 하천 127곳에 추가 설치한다. 이 시설은 수동 방식이 아니라 상황실에서 원격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급격한 수위 상승시 대응력을 높일 수 있다.

서울시는 또 2010년과 2011년 발생한 침수피해 이후 시작한 34개 침수취약지역 해소사업과 관련, 현재까지 27곳이 완료됐으며 나머지 7곳은 2021년까지 완료를 목표로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