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무일 후임 누구?… 검경수사권 조정 갈등이 핵심 변수될 듯

입력 2019-05-20 19:12

차기 검찰총장 후보를 선정하기 위한 본격적인 심사 절차가 시작됐다. 검경 수사권 조정안에 대해 공개 반발하는 검찰을 향해 “겸허하라”고 주문한 문재인정부가 차기 검찰 수장으로 누구를 낙점할지 관심이 쏠린다

정권 후반부 검찰 조직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고검장급 인사들이 후보군에 오른 가운데 검찰 개혁 의지를 선명히 보여줄 파격적 인선 가능성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법무부는 지난 13일부터 검찰 내·외부로부터 법조경력 15년 이상의 제청 대상자를 검찰총장 후보자로 천거 받는 천거 절차를 20일 오후 6시 마감했다. 검찰총장후보추천위원회는 이들 중 심사를 거쳐 3명 이상의 후보를 법무부에 추천한다.

박상기 법무부 장관이 이 중 한 명을 대통령에게 제청하고, 이후 청문회를 거쳐 신임 총장이 임명된다. 문 총장의 임기가 오는 7월 24일 마무리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르면 다음달 중 신임 총장 후보자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검찰 관계자는 “과거 사례를 보면 (임명) 한 달을 채 안 남기고 청문 절차에 넘겨왔다”고 말했다.

법조계 안팎에선 검경 수사권 조정 문제가 차기 총장 인선의 핵심 변수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지난 13일 후보추천위가 예상보다 빨리 꾸려진 것을 놓고도 수사권 조정안에 공개 반발한 문 총장에 대한 경고성 메시지가 담겼다는 해석이 나온 바 있다.

현재 거론되는 유력 후보군은 현직 고검장급 간부 중 사법연수원 19기인 봉욱 대검 차장과 조은석 법무연수원장, 20기의 김오수 법무부 차관, 이금로 수원고검장 등이다. 18기인 문 총장과 기수 차이가 많이 나지 않으면서 조직 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들이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이유다.

다만 조직 차원에서 반발하는 검찰을 장악하기 위한 파격적 인사 카드로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 임명 가능성을 꼽는 이들도 있다. 23기인 윤 지검장이 총장에 오를 경우 그보다 위 기수에 있는 검찰 조직 지휘부를 한 번에 물갈이하겠다는 메시지가 되기 때문이다. 법조계 관계자는 “현재 국회 등 분위기를 보면 가능성이 없진 않은 얘기지만 정권 후반부에 검찰과 척을 지는 것은 부담일 것”이라고 말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