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 ‘미성년 논문 끼워넣기’ 없다더니… 언론 제보로 덜미

입력 2019-05-20 19:36

거점국립대인 전북대가 ‘교수자녀 논문 끼워 넣기’ 사례가 없다고 시치미 떼다 지역 언론 제보로 덜미를 잡혔다. 교육부는 전북대처럼 정부 조사에 허투루 응한 대학들을 특별 감사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20일 교육신뢰회복추진단 제9차 회의를 열고 교수자녀 논문 끼워 넣기 및 부실학회 참석 사례가 다수 적발된 대학들을 특별 감사하기로 결정했다. 감사 대상은 서울대 전북대 등 15곳이다(표 참조). 교육부 관계자는 “미성년 자녀 논문과 부실학회 참석자가 다수 나왔거나 자체 조사가 부실했던 대학, 징계 처분 수위가 타 대학과 비교해 형평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대학들”이라고 설명했다. 특별 감사는 이달 말 시작해 8월까지 마무리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교수들이 자기 논문을 이용해 자녀 스펙을 만들어주는 행태(국민일보 2017년 12월 5일자 1면 등 참조)가 알려진 뒤 현재까지 대대적인 실태조사를 벌이고 있다. 조사 범위가 워낙 방대해 1차로 대학이 자체 조사를 벌이고 이를 교육부가 검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대학은 교육부 조사에 비협조로 일관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전북대는 교육부에 세 차례에 걸쳐 미성년 공저자 논문 건수를 ‘0건’으로 보고했다. 교육부가 지난 13일 발표한 실태조사 중간발표 때도 전북대는 적발 대학 명단에 없었다.

그러나 한 지역 언론이 “전북대에도 미성년인 두 자녀를 논문 공저자로 올린 교수가 있다”는 내용으로 교육부에 제보했다. 교육부는 16일 현장 점검을 나갔고 전북대 자체 조사가 ‘총체적 부실’이었다고 결론 내렸다. 교육부 관계자는 “전북대는 전면 재조사하게 된다. 해당 전북대 교수 자녀의 대학입시 부정, 학사 비리에 대한 의혹을 철저히 들여다보겠다”고 말했다.

또한 최근 자녀의 대학·대학원 편입학에 관여한 의혹이 있는 이병천 서울대 수의대 교수건도 조사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연구부정 행위나 부실조사 의혹이 있을 경우 한국연구재단 인터넷 홈페이지의 연구 부정행위 신고센터나 교육부 홈페이지의 교육 신뢰회복을 위한 국민신고센터로 제보해 달라고 당부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미성년자의 논문 저자 등재가 대학·대학원 입시로 연결되는 일을 철저히 감사해 단호하게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추진단 회의에서는 전국 초등교원 양성기관 13곳과 중·고교 9곳을 대상으로 성희롱·성폭력 관련 조직문화 개선 컨설팅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여성가족부와 공동으로 진행하며 성폭력 상담 전문가와 변호사 노무사 등이 참여한다. 이번 컨설팅은 교육부 실태조사와 맞물려 진행된다. 최근 서울교대에서는 일부 남학생들이 여학생 외모 등에 대해 성희롱을 일삼았다는 폭로가 나왔다. 논란이 불거지자 교육부는 교대 10곳을 대상으로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 전담부서 및 담당 인력, 사안처리 절차 등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들여다보고 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