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들 이번엔 ‘수소차’ 보급 시동

입력 2019-05-20 19:19
대전 첫 수소충전소 준공식이 열린 20일 행사장에서 허태정 대전시장 등이 수소차에 수소를 충전하고 있다. 대전시 제공

환경보호와 신성장 동력 확보 등을 위해 전기차 보급에 열을 올리던 지방자치단체들이 수소차로 눈을 돌리고 있다. 정부의 수소차 인프라 지원 확대와 현대자동차의 수소차·수소전기차 생산체계 강화 방침 등의 분위기를 타고 지자체들이 수소차 인프라 구축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대구시는 혁신성장 동력을 마련하기 위해 ‘수소차 보급 및 수소충전소 구축 기본계획’을 마련했다고 20일 밝혔다. 2030년까지 수소차 1만2000대를 보급하고 수소충전소 40곳을 구축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우선 단기계획으로 2022년까지 720억원을 투입해 수소차 1000대와 수소버스 20대를 보급하고 수소충전소 4곳을 구축하기로 했다. 또 안정적인 수소 공급을 위해 소규모 수소생산기지 확보도 계획하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수소차 보급을 통해 지역의 대기환경 개선과 수소산업 기반 구축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시는 이날 지역 첫 수소충전소(유성구 학하동) 준공식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충전용량은 350㎏ 규모로 하루에 승용차 70대와 버스 14대를 충전할 수 있는 양이다. 수소차도 올해 연말까지 220대가 보급되며 내년에도 220대를 추가 보급한다. 강원도도 수소차 인프라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강원도는 연말까지 도내 5곳에 수소충전소 설치 계획을 세웠는데 최근 강릉과 삼척의 충전소 부지를 최종 확정했다. 수소차도 올해 100대분의 구매계약을 마쳤으며 연내 195대를 더 보급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300대 보급이 목표다.

부산에서는 전국 최초 민간 주도로 구축한 수소충전소가 지난 14일부터 영업을 시작했다. 강서구에 있는 ‘서부산NK수소충전소’는 부산의 첫 수소충전소로 시간당 25㎏의 수소를 충전할 수 있다. 일반 승용차 기준 1일 40대 충전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에는 이곳 외에도 사상구에 충전소가 건립되고 있다.

정부가 수소충전소 설치 규제 완화 방침을 밝힘에 따라 지자체들의 수소차 인프라 구축 사업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령과 시행규칙을 개정하고 수소충전소가 철길 옆에도 들어설 수 있도록 했다. 또 수소충전소와 화기의 거리가 8m 이상 되도록 한 것도 완화해 수소추출기 내부 밀폐공간에 존재하는 화기는 적용대상에서 제외했다. 자격 요건도 완화해 가스기능사 자격이 없더라도 양성교육을 이수하면 충전소 안전관리 책임자로 선임할 수 있도록 했다.

대구·대전·세종=최일영 전희진 전성필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