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오는 2030년까지 ‘탄소중립(Zero Carbon)’을 달성하겠다고 20일 선언했다. 지구온난화 문제를 해결하려는 전 세계 움직임에 동참하기 위해서다.
탄소중립은 탄소를 배출하는 만큼 신재생 에너지 발전 등으로 탄소를 감축하는 활동을 벌이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 활동에 의한 탄소 배출은 지구온난화의 주 원인으로 꼽힌다.
LG전자는 2030년까지 제품 생산단계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2017년 대비 50% 줄이는 동시에 외부에서 탄소 감축 활동을 통해 획득한 탄소배출권으로 탄소중립을 실현한다는 방침이다.
LG전자는 2017년 국내외 생산사업장 및 사무실에서 193만t의 탄소를 배출했으나 고효율 설비와 온실가스 감축장치 추가 도입을 통해 2030년까지 절반 수준인 96만t으로 줄일 계획이다. 청정개발체제(CDM) 사업을 확대해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으로부터 탄소배출권도 확보한다. CDM은 기업이 개발도상국에 기술과 자본을 투자해 탄소배출량을 줄이면 이를 탄소배출 감축 목표 달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LG전자는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CDM 사업을 통해 총 34만t의 탄소배출권을 확보했다.
이와 함께 LG전자는 재생에너지 사용을 확대하기 위해 태양광 사업을 강화하는 한편 고효율 냉동기 및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등 솔루션도 적극 활용해 탄소배출량 저감에 이바지할 예정이다.
LG전자 안전환경담당 이영재 상무는 “각 사업장에서 탄소배출량을 적극 감축하고 유엔 CDM 사업을 확대해 기후변화로 인한 글로벌 이슈 해결에 동참하겠다”고 강조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