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한·일서 잇단 ‘빅 이벤트’… 북핵·세계경제 판도 변화 주목

입력 2019-05-20 04:06

북·미 비핵화 협상과 동북아 정세, 글로벌 경제를 좌우할 빅 외교전이 이번 주 막을 올린다. 지난달 중국과 러시아에서 북·중·러 간 연쇄 정상회담이 열린 데 이어 이번에는 한국과 일본으로 무대를 옮겨 남북 및 미·중·일·러 4강의 정상 외교가 동시다발적으로 펼쳐지는 것이다.

정상 외교의 시계는 다음 달 28~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맞춰져 있다. G20 회의를 계기로 미·중, 미·일 정상회담이 열릴 예정이고 미·러 정상회담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정부 역시 중국, 일본, 러시아 등과의 정상회담 가능성 등을 두루 감안해 G20 참석 여부를 최종 검토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G20 회의에 앞서 오는 25~28일 일본 국빈방문으로 동북아 외교전의 신호탄을 쏜다. 미·일 간에는 북한 문제를 비롯해 군사 협력, 무역 협상 등 여러 현안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내놓을 대북 메시지는 북·미 대화 재개 여부를 가늠할 1차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워싱턴에서 열린 미·일 정상회담 때 일본인 납북자 문제 해결을 위한 북·일 정상회담 추진에 협력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고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밝힌 바 있다. 아베 총리는 19일 납치 피해자 가족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조건 없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나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하고 싶다고 말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다음 달 말에는 한국에서 한·미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G20 참석 계기로 한국을 방문키로 하면서 성사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한·미 정상회담 전 남북 대화의 물꼬를 트는 데 주력하고 있다. 국제기구를 통한 대북 인도적 지원과 개성공단 기업인 방북 승인 결정을 내린 것도 그 일환이다. 이후 남북 정상회담이나 고위급 회담, 대북 특사 파견 등 가능한 방식을 총동원해 북측 의도를 파악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북한 역시 미·일, 한·미 정상회담 결과를 지켜보면서 향후 대응 전략을 가다듬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아직까지 북·미 대화 재개 징후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조윤제 주미대사는 17일(현지시간) 워싱턴DC의 주미 한국 대사관저에서 열린 특파원 간담회에서 “미국은 북한에 대화 재개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데 북한에서 답이 없는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조 대사는 또 “(지난달) 북·러 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뚜렷한 외교 행보가 보이지 않는 상황”이라며 “북한은 자신들의 입장을 표출하면서도 일정한 선을 넘지 않으려는 것 같고, 최근 두 차례에 걸친 발사도 결국 대화를 원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그런 방식으로 표현한 것 아닌가 추측된다”고 덧붙였다. 조 대사는 한·미 정상회담 일정과 의제에 대해선 “이제부터 양국 간 협의를 해나가야 한다”고 했다.

정부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한국 방문도 계속 추진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2017년 12월 중국을 방문했을 때 시 주석의 방한을 공식 초청했고, 지난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에서도 같은 뜻을 거듭 전달한 바 있다. 문희상 국회의장도 최근 중국을 방문해 시 주석의 방한을 요청했지만 중국은 확답을 주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 주석의 방한은 그의 평양 방문과도 연계돼 있고 미국과의 무역 전쟁, 교착 상태에 빠진 북·미 비핵화 협상 등 상황도 유동적이어서 확정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은 G20 계기 정상회담에서 무역협상 타결을 위한 최종 담판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두 정상이 만나서도 합의점을 찾지 못한다면 관세 폭탄을 앞세운 미·중 간 무역갈등이 장기화 수순으로 접어들 것이란 전망이 많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