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 “대북송금특검 수용은 정치적 맥락 있다”, 박지원 “부적절”

입력 2019-05-19 18:52 수정 2019-05-19 22:29

노무현정부 초기 진행됐던 대북송금 특검에 대한 평가를 두고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과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이 충돌했다. 유 이사장이 “정치적인 맥락이 있다”고 하자 박 의원이 “지금 이 순간 언급할 필요가 없는 부적절한 발언”이라고 반발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을 지낸 박 의원은 대북송금 특검으로 옥고까지 치렀다.

유 이사장은 19일 광주MBC에 출연해 “특검이 옳았냐 옳지 않았냐를 넘어서는 정치적 맥락이 있다”며 “두 전직 대통령의 관계에 관한 문제다. 노 전 대통령은 고분고분한 후계자가 아니었다”고 말했다. 그는 “현상적으로는 김 전 대통령의 가장 중요한 업적을 흠집 내려고 야당이 만든 특검법을 수용했으니 김 전 대통령을 좋아하는 분들은 기분이 좋을 수 없다. 이것을 각 정치세력이 이용해 먹기 위해 증폭시켰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노 전 대통령이) 물론 조금 속도 썩이고 대립한 적도 있지만, 나쁜 마음 때문이 아니고 나름대로 올바른 길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김 전 대통령과 조금 어긋나기도 했던 게 아닌가 싶다”며 “이것을 생각하면 마음이 많이 아프다”고 했다.

박 의원은 즉각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유감을 나타냈다. 그는 “김 전 대통령은 대북송금 특검에 대해 불만을 수차 지적했다”며 “2012년 대선 때 문재인 후보께서 대국민사과를 하신 바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의 사과로 정리가 된 문제를 왜 굳이 꺼내느냐는 것이다. 다만 박 의원은 “햇볕정책을 가장 훌륭하게 계승·실천하는 문 대통령을 위해서도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세력의 단합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대북송금 특검은 범여권 내 뿌리 깊은 갈등의 원인이다. 노 전 대통령이 특검을 받아들이면서 당시 민주당 내 동교동계와 호남계 인사들이 강하게 반발했다. 2012년 대선 경선 당시 민주통합당 후보였던 문 대통령도 “호남에 상처를 준 것에 대해 사과드린다. 노 전 대통령도 피하고 싶었던 일”이라고 말한 바 있다.

한편 오는 23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 열리는 노 전 대통령 10주기 추도식에 참석하는 조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은 자신이 직접 그린 노 전 대통령 초상화를 선물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당일 부시 전 대통령을 청와대에서 접견할 예정이다.

김판 김성훈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