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학 캠퍼스 내 사용하지 않는 부지에 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올해 후보지 2∼3곳을 선정하고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5일 경제활력대책회의 및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우수 인재를 보유한 대학 캠퍼스 안에 산업단지를 만드는 ‘캠퍼스 혁신파크 조성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이를 위해 지난달 24일 교육부, 국토교통부와 업무협약을 하고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정부는 다음 달 서울을 제외한 지역에 캠퍼스 혁신파크 후보지를 공모하고 전문가 평가를 거쳐 8월 최종 선정키로 했다. 캠퍼스 혁신파크에는 대학의 혁신역량과 연계가 가능한 첨단업종을 유치해 기업 입주시설, 창업 지원시설, 주거·문화시설을 개발할 예정이다. 창업기업과 성장기업을 돕기 위해 업무공간을 저렴하게 제공하고 개방형 혁신공간을 꾸리기로 했다.
대학뿐 아니라 공공기관이나 민간도 대학 내에 산업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산업입지법 개정도 추진한다. 임대료 인상률 제한, 임대기간 자동갱신 협약 등도 마련할 예정이다. 캠퍼스 혁신파크의 입지 특성에 따라 도시재생사업, 규제자유특구 등을 지정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
재학생, 창업자 등 산학연 협력 참여자를 위한 ‘산학연 협력주택’(가칭) 공급도 추진한다. 전세자금 저리 융자, 입주 기업의 기숙사 임차비 지원 등도 계획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범정부 차원에서 캠퍼스 혁신파크 조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며 “캠퍼스 혁신파크가 지역경제의 활력소가 되고, 혁신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문수정 기자
대학캠퍼스 유휴부지에 ‘첨단산업단지’ 조성 추진
입력 2019-05-15 18: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