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농식품산업 키워드는 ‘청년·친환경’

입력 2019-05-14 18:56

충북 괴산군에서 농사를 짓는 한모(37)씨는 도시에서 이주했다. 설계 관련 전문직에 종사하다 ‘농사 창업’을 하기로 결심했다. 남들보다 일찍 ‘인생 2모작’에 도전했지만, 그 길은 순탄치 않았다. 창업 초기에는 생활비가 부족했다. 막노동을 하면서 사업도 하는 ‘투잡’ 상황까지 몰렸다. 그러다보니 판매할 농산물 품질은 떨어지고, 쉴 시간이 없어 생활은 피폐해졌다.

한씨가 찾은 출구는 정부가 지난해부터 시행 중인 ‘영농정착지원사업’이다. 만 39세 이하 귀농 청년을 선발해 최대 3년간 월 100만원의 영농정착지원금을 주는 사업이다. 올해까지 3200명이 대상으로 선발됐는데, 한씨도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그는 “삶도 안정되고 직거래 매장 구축 등 장기계획도 실행할 수 있게 됐다”고 했다.

정부는 2017년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발표하면서 100대 과제 가운데 하나로 ‘지속가능한 농식품산업 기반 조성’을 꼽았었다. 핵심은 ‘청년’과 ‘친환경’이다. 농촌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소비자가 찾는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하겠다는 전략이다.

정부는 청년층의 농촌 유입을 유도하기 위해 영농정착지원, 기반시설 마련 카드를 준비했다. 정책자금을 편성해 정착비를 주고, 청년 농부들이 활동할 수 있는 ‘스마트팜’도 만들고 있다. 2016년 기준 1912㏊였던 스마트온실은 지난해 4900㏊까지 늘어났다. 스마트축사도 1425곳으로 2016년(430곳) 대비 3.3배 확대됐다. 농촌 유입 인구도 늘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농림어업 취업자 수는 134만명으로 전년(127만9000명)보다 6만2000명 증가했다. 전체 업종 가운데 보건·복지서비스업 다음으로 취업자 수 증가폭이 컸다.

친환경 농업 확대는 무농약 농산물을 찾는 소비자의 수요에 정부가 힘을 싣는 형태로 설계했다. 지난해 유기농 재배 면적은 2만4666㏊로 전년(2만673㏊) 대비 19.3%나 급증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14일 “친환경 농업지구 조성으로 생산 기반을 더욱 늘려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