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계엄군 발포 직전 광주 왔다… 사살명령 내렸을 것”

입력 2019-05-13 19:11 수정 2019-05-13 23:47

전두환 전 대통령이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의 발포(1980년 5월 21일) 직전 광주에 직접 내려왔다는 증언이 나왔다. 증언자는 전씨의 광주 방문 목적이 ‘사살명령’이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80년 5월 당시 미 육군 소속 정보요원으로 광주에서 활동했다고 밝힌 김용장(사진)씨는 13일 더불어민주당이 국회에서 마련한 기자회견에 참석해 “전두환이 80년 5월 21일 K57(제1전투비행단) 비행장에 헬기를 타고 왔다”며 “단장실에서 회의를 열고 사살명령을 내렸을 것”이라고 말했다. 5·18 당시 보안사령부의 수족처럼 움직인 505보안부대에서 수사관으로 근무했던 허장환씨도 기자회견에 나와 “전두환이 5월 21일 광주에 다녀갔다는 것은 확인된 사항이며 입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씨는 사살명령이 그동안 알려진 ‘발포명령’과 완전히 다르다고 강조했다. 발포는 상대방이 총격을 가했을 때 방어 차원에서 하는 것인데, 당시 공수부대가 시민들에게 취한 앉아쏴 자세 등은 자위적 행동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그는 ‘북한군 침투설’에 대해 “전두환이 허위 날조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당시 북한은 병력 침투를 위한 잠수정을 충분히 보유하지 않았고, 미국의 위성 감시를 피하는 것도 불가능했다는 게 김씨의 설명이다.

김씨는 보안사가 강경 진압의 빌미를 마련하려고 훈련된 군인들을 광주시내에 침투시켰다고 증언했다. 그는 “‘편의대’라 불리며 시민 행세를 하던 사복 군인들이 수백명 존재했다. 일각에서 ‘북괴군이 했다’고 주장하는 방화, 총격, 차량 탈취는 이들이 선봉에서 유도하거나 직접 벌인 소행”이라고 주장했다.

군이 희생자 시신을 조직적으로 인멸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김씨는 “5공 청문회 때 정호용 전 특전사령관이 ‘암매장은 없었지만 가매장은 있었다’고 밝혔다”며 “가매장한 시신을 재발굴해 그 일부를 광주통합병원에서 소각했는데, 200구 정도가 소각됐다고 추측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렇게 계산해도 숫자가 터무니없이 적어 시신이 어디론가 다른 지역으로 수송됐을 것”이라고 했다.

허씨도 “시민군 사망자 가운데 북한의 간첩이 있지 않은지 엄중하게 가려내라는 지시가 있었다”며 “가매장을 한 뒤 다시 발굴해 지문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문을 채취한 이후 시신을 다시 묻을 수 없으니 광주통합병원 보일러실에서 소각했다. 시신을 태우다 (보일러) 용량이 충분하지 않아 일부 시신을 김해공항으로 가져가 수장했다”고 주장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