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오는 18일 광주에서 열리는 5·18광주민주화운동 39주기 기념식에 참석하는 것을 두고 벌써부터 정치권 안팎에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황 대표의 기념식 참석 방침에 대해 범여권에서는 “5·18 폄훼 의원들조차 제대로 징계하지 않는 한국당이 무슨 염치로 기념식에 참석하느냐”는 반발이 나왔다. 여당 지도부는 한국당에 5·18 기념식 참석 전까지 5·18 폄훼 의원 징계 문제를 매듭짓고 5·18 관련 허위사실 유포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특별법 처리를 제안했지만, 실현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황 대표는 13일 경북 안동에서 기자들과 만나 “(18일 기념식에) 오라는 초청이 있었고, 응해서 광주를 방문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황 대표의 5·18 기념식 참석은 보수 정당 대표로서는 2015년 김무성 새누리당(한국당 전신) 대표 이후 4년 만의 일이다. 그동안 한국당과 새누리당에서는 당대표 대신 원내대표가 5·18 기념식에 참석해 왔다.
하지만 황 대표의 기념식 참석은 그다지 환영받지 못하는 분위기다. 지난 2월 5·18 공청회에서 5·18 폄훼 발언을 쏟아낸 한국당 의원들에 대한 ‘솜방망이 징계’ 논란이 결정적 요인이다. 당시 한국당은 ‘5·18은 폭동’ 등의 발언을 한 이종명 의원을 제명키로 했지만 이 의원 제명 여부를 묻기 위한 의원총회가 아직 소집되지 않아 이 의원은 의원 신분을 유지하고 있다. 함께 윤리위에 회부된 김순례 의원과 김진태 의원도 지난 4월 당원권 정지 3개월과 경고 등 비교적 가벼운 처분만 받았다. 이들 의원에 대한 국회 윤리특위 차원의 징계도 윤리특위 자문위 구성을 둘러싼 여야 이견으로 표류 중이다.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황 대표의 기념식 참석은 반갑고 환영할 일”이라면서도 “광주를 찾기 전 그동안 있었던 불미스러운 일들을 청산하고 가야 한다. 징계 절차가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고 5·18 역사 왜곡이 재발하지 않도록 법적 정비를 완료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여권 일각에서는 황 대표의 광주행이 지역감정을 조장하려는 의도가 담겼다는 주장까지 나왔다.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지난 12일 광주에서 열린 토크콘서트에서 “황 대표가 망언 의원 징계 문제를 유야무야 깔아뭉개고 기념식에 참석하겠다고 하는 것은 얻어맞으려고 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황 대표는 이에 대해 “광주시민을 모독하는 말”이라고 반박했다.
한국당 내에서도 지난 3일 황 대표가 광주에서 열린 장외 집회에 참석했다가 일부 시민들로부터 물세례를 받았던 것과 같은 일이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그럼에도 황 대표는 “광주시민은 소중한 분들”이라며 예정대로 방문하겠다는 입장이다. 당 핵심 관계자는 “지역 민심이 우호적이지 않다고 해서 공당의 대표가 특정 지역을 피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황 대표는 5·18 기념식 참석을 계기로 호남 지역 민생 행보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이종선 김용현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