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닷새 만에 다시 단거리 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발사하면서 청와대가 긴급 대응태세에 들어갔다. 청와대는 북한의 잇단 도발에 당혹스러워하면서 배경 파악에 분주한 모습이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9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상황 발생 시부터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국방부, 합동참모본부와 화상으로 연결해 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4일 신형 전술유도무기 발사 때와 달리 이번엔 ‘미사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지난번 군이 처음에 미사일이라고 발표했다가 발사체로 정정했던 것과 다르게 이번엔 미사일에 해당된다고 사실상 인정한 것이다. 사거리가 420여㎞, 270여㎞에 달하는 만큼 이번에도 분석 등을 이유로 판단을 미루기에는 부담이 크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북한의 잇단 미사일 발사를 두고 출구전략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지난 4일 전술유도무기 발사 이후 청와대·정부는 물론 여당까지 나서 “(북한의) 도발이 아니라 방어 훈련”이라고 밝히며 진화에 힘써 왔다. 미국 역시 북한에 대한 공세적 대응을 자제하고 신중한 모습을 견지해 왔다.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7일 통화에서 양국 정부의 대응이 이번 사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성공했다고 평가했었다. 그런데 불과 닷새 만에 다시 발사체를 발사하면서 청와대도 출구전략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모습이다.
문 대통령은 두 차례 발사에도 불구하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는 소집하지 않고 있다. 청와대는 NSC 전체회의 소집 시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메시지를 줄 수 있다는 우려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대신 관계장관 회의를 소집하거나 국가안보실 차원에서 대응토록 하고 있다. 파장이 확산되지 않도록 상황 관리에 우선순위를 둔 것이지만 한편에선 안보 불안 우려도 커지고 있다. 따라서 북한의 도발이 장기화될 경우 청와대가 정면 대응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한의 발사체 분석이 끝난 뒤 전반적인 상황 검토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