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신임 원내대표의 첫 과제는 얼어붙은 대야(對野) 관계를 회복시키는 것이다. 이를 의식한 듯 그는 8일 당선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최대한 빨리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를 만나겠다”고 말했다. 두 원내대표는 9일 중 만나기로 했다.
이 원내대표는 추가경정예산안과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에 오른 선거법·개혁법안 등 쌓여 있는 현안을 풀어내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그는 “우선 민생 중심으로 국회를 정상화하겠다. 당장 자영업자, 중소기업, 청년의 민생을 챙기는 것이 급하다”며 “강원 산불, 포항 지진 등이 포함된 추경은 ‘플러스알파’가 있으면 협상의 접점이 생긴다고 본다. 패스트트랙도 야당과 소통 창구를 열어 해법을 찾는 노력을 하겠다”고 했다.
다만 한국당과의 고소·고발 건 처리에 관해서는 “검토하겠다”는 원론적 입장을 유지했다. 이 원내대표는 “선거운동 과정에서의 고소·고발은 정치적으로 화해하면서 처리하는 게 가능한데, 국회선진화법이 작동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일은 그게 가능할까 싶다”며 “국민의 눈에서 봤을 때 없었던 일로 만들면 뭐하러 국회선진화법을 제정했느냐는 비판이 있어서 좀 더 검토해보겠다”고 밝혔다.
본인이 당선된 이유에 대한 질문에는 ‘주류와 비주류의 벽을 깨자’는 바람이 작용했다고 답했다. 이 원내대표는 “문재인 대통령으로 정권교체가 될 당시 ‘문재인 가치를 중심으로 하나가 되자’는 용광로 감성이 있었다. 우리 안의 그 감성을 회복해서 주류와 비주류가 없는 민주당을 다시 한 번 만들어보자는 기대가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의원들이) 어떤 게 총선에 좋은 구도인지 고려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 원내대표는 새 원내대변인에 박찬대, 정춘숙 의원을 임명했다. 이 원내대표는 “원내수석부대표부터 화합형, 통합형 의원을 모시고 싶다”며 “저를 지지하고 안 하고는 상관없다. 무엇보다 이해찬 대표를 중심으로 당이 잘 운영되도록 떠받치는 역할을 하면 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심희정 김성훈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