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소기업 온라인 수출과 스타트업(초기 벤처기업)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물류·판매 인프라를 구축하고 해외 진출거점을 새로 만든다. 이를 통해 오는 2022년까지 온라인 수출기업 1만5000개를 육성할 계획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8일 기획재정부·산업통상자원부·문화체육관광부·관세청·특허청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중소벤처기업 수출·해외진출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중기부는 우선 국내 온라인 플랫폼·물류사와 손잡고 ‘공동물류사업’을 추진한다. 또 수출 상품 보관·통관·배송을 공항 등에서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통관물류센터’도 세운다. 국내에선 소량 수출물량 집적을 위한 마케팅·창고 비용을, 해외에선 수요가 높은 10개 지역에서 현지 물류비용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중기부는 “기업 대 개인(B2C) 전자상거래는 다품종·소량으로 상품을 취급하기 때문에 물류경쟁력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국내 수출 중소기업 중 전자상거래를 활용하는 기업은 12.4%에 불과하다.
스타트업을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의 스타트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스케일업(scale-up)도 추진한다. 미국 시애틀과 인도 구르가온에 스타트업 진출거점을 신설한다. 아울러 중기부는 기존 중소기업 해외 진출 지원방식을 전면 개편해 2022년까지 수출 유망 핵심기업 5000개를 육성할 계획이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등이 수출 규모별 우수기업을 추천하면 지방자치단체와 수출 유관기관 등으로 구성된 수출지원협의회가 공동협의로 핵심기업을 선정해 집중 지원하는 방식이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