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등 대학 10곳이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 사업에서 탈락할 위기에 놓였다. 고교교육 기여대학 사업은 학부모 부담을 줄이고 고교 수업을 정상화하는 쪽으로 대입 전형을 운영하는 대학에 국고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교육부는 2019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중간평가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지난해 선정된 67개교를 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고려대 부산대 서울과기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순천대 우석대 전북대 한국교원대 한동대 등 10곳이 탈락했다(표 참조). 교육부 관계자는 “대입 전형이 단순하고 투명한지, 공정성이 강화됐는지, 고른기회전형 선발이 충분했는지 등을 평가했다. 대입전형 이해도가 높은 대학, 고교, 교육청 관계자 등이 평가위원으로 참여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평가에서 탈락한 대학은 패자부활전을 치러야 한다. 교육부는 새로 신청한 대학 21곳과 탈락 대학 10곳을 대상으로 추가선정평가를 진행한다. 이 가운데 10곳을 선정해 올해 예산을 지원할 방침이다. 교육부 송근현 대입정책과장은 “탈락 대학들은 전반적으로 실적이 낮게 나타났다. 고려대와 성균관대의 경우 입학사정관 채용규모가 당초 약속보다 적고, 고른기회전형의 비율이 다른 대학보다 적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고려대는 최근 학생부교과전형 논쟁을 일으킨 여파가 평가에 반영됐다는 관측이 나온다. 송 과장은 “이번 평가에 전형 비율(정시모집 30% 이상 등)은 반영되지는 않았다”면서도 “학생부보다 면접의 영향력을 높게 설계한 점이 고려대가 낮은 점수를 받은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전반적으로 다른 대학들에 비해 점수가 낮은 것이 탈락한 원인이지만,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수능 위주 정시 확대 정책에 부응하지 않고 면접 비중이 높은 학생부교과전형을 30% 가까이 늘리는 ‘꼼수’를 낸 부분도 무관하지 않다는 얘기다.
평가를 통과한 서울대 서강대 등 57곳은 1년 더 지원받는다. 지원금은 입학사정관 수 등에 따라 대학별로 적게는 2억원 많게는 20억원을 배분한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