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헌표’ 종합검사는 뭐가 다른지, 한번 받아보면 알겠죠.”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의 취임 1주년을 하루 앞둔 7일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이렇게 촌평했다. 4년 만에 부활한 금감원 종합검사는 이달 중순 본격 시행을 앞두고 있다. 종합검사 부활은 윤 원장의 ‘소신’이다. 어떻게 이뤄질지, 결과물은 어떨지를 둘러싸고 피감기관은 물론 금융권 전체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금감원은 종합검사 대상인 KB금융그룹(은행, 증권)과 한화생명, 메리츠화재로부터 받은 사전검사 자료를 분석하며 현장검사 시점을 조율하고 있다. 앞서 금감원은 관치 논란을 줄이고 금융소비자 보호 등 긍정적 효과를 높이겠다는 세부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달라진 부분은 ‘수검부담 완화’다. 성과를 내는 데 치중하지 않고 경영 상황, 리스크 등 핵심만 점검하겠다는 취지다. 통상 4주간 이뤄지는 검사기간도 원칙적으로 연장하지 않겠다고 했다.
하지만 금감원은 ‘고의적 검사 방해’ 행위엔 엄정 대처하겠다는 방침도 강조한다. 피감기관이 자료 제출을 거부하거나 다른 자료를 줘 검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게 방해한다면 검사기간 연장 등 다양한 대응수단을 강구하겠다는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제대로 된 검사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기한이 끝났다는 이유로 무조건 철수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금융회사 입장에서도 (검사 방해 논란이) 좋을 게 없는 만큼 실제 일어날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고 말했다.
부활 이후 첫 종합검사에 부담을 느끼는 건 금감원도 마찬가지다. ‘이번 종합검사는 다르더라’는 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피감기관의 입에서 호평이 나올 확률은 높지 않아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아무리 금감원이 ‘우리 정말로 달라졌다’고 말한들, 검사를 받는 금융회사에서 ‘그게 뭐가 달라진 것이냐’고 하게 마련”이라며 “금융회사의 문제점을 점검한다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면서 ‘보복성 검사’ 같은 부작용 우려를 덜어내는 게 과제”라고 말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