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철 통일부 장관, 8일 첫 개성 방문, 북한은 영접할까

입력 2019-05-07 18:37

김연철(사진) 통일부 장관이 취임 한 달 만에 방북길에 오른다. 통일부는 김 장관이 8일 오전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방문, 업무현황을 파악하고 상주 직원을 격려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김 장관 방북이 소강 국면인 남북 대화 재개에 물꼬를 틀 수 있을지 주목된다.

통일부 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 “김 장관이 8일 오전 경의선 육로를 통해 연락사무소를 방문한다”며 “연락사무소 업무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상주 근무자를 격려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통일부는 김 장관과 북측 고위급 인사와의 만남은 현재까지 예정돼 있지 않다고 밝혔다. 북측에서는 현재 연락사무소에서 근무 중인 김영철 임시소장대리가 김 장관을 영접할 예정이다. 이 당국자는 “(북측으로부터) 필요한 예의를 갖추겠다는 정도만 들었다”고 전했다. 김 장관은 연락사무소 청사와 숙소를 돌아본 뒤 직원들과 오찬을 함께하고 오후에 돌아올 예정이다. 통일부는 김 장관의 방북이 개성공단 재가동과는 관계가 없으며, 공단을 둘러보지도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김 장관의 방북에 맞춰 북측 고위인사가 내려올 가능성을 아예 배제할 수는 없다. 김 장관의 북측 카운터파트는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이다. 리 위원장 등 북측의 책임 있는 인사와의 방문 및 회동 가능성에 대해 정부 당국자는 “현재까진 거기에 대해 드릴 수 있는 내용이 없다”고 답했다.

통일부는 김 장관 방북이 소속기관인 연락사무소 현장방문 차원이라고 설명하지만 타이밍이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북한이 지난 4일 ‘단거리 발사체’를 발사하면서 1년6개월 만에 도발을 재개한 데다 올해 연락사무소 소장회의는 지난 2월 22일을 마지막으로 10주 연속 불발된 상태다. 이산가족 화상상봉과 개성 만월대 공동발굴 등 남북 인도적 협력 사업에도 북측은 일절 반응하지 않고 있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북한이 남북 대화에 응하지 않는 상황에서 ‘장관의 첫 방북’이라는 카드를 너무 일찍 소진하는 느낌이 있다”며 “임시소장대리가 김 장관을 영접하는 것도 격에 맞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한편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와 별개로 식량지원을 포함한 인도적 차원의 지원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 관계자도 “인도적 지원은 대북 제재 예외대상”이라며 “정부 주도로 식량지원에 나서지는 않겠지만 민간 차원의 식량지원은 지금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