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조선해양이 진정한 현대중공업 본사… 서울 이전 반대”

입력 2019-05-07 20:08

송철호(사진) 울산시장이 7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긴급 담화문을 발표했다. 현대중공업이 오는 31일 주주총회에서 물적분할 안건을 처리할 것으로 알려진데 따른 것이다. 송 시장은 “현대중공업의 경영, 설계, 연구 인력의 역외 유출은 앞선 분사 결정과 인력 구조조정으로 발생했던 지역경제 붕괴의 악몽을 재연하게 된다”며 “현대중공업은 정주영 명예회장의 도전정신의 산물이며 지역과 함께 성장해왔고 향후 100년간 시민들의 사랑을 받는 향토기업이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 본사는 울산에 존속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이에 대해 현대중공업은 해명자료를 통해 “중공업은 변함없이 울산에 본사를 두며, 공장 등 사업장 이전 없이 기존 사업을 그대로 수행한다”며 “한국조선해양의 본사 위치를 두고 현대중공업의 본사 이전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고 설명했다. 현대중공업이 오는 31일 임시 주주총회에서 처리할 예정인 물적분할 안건에 따르면 현재의 현대중공업은 ‘한국조선해양’이라는 중간지주회사(분할존속회사)로 바뀌고 그 자회사로 신생 현대중공업(분할신설회사)이 탄생한다. 물적분할 후 한국조선해양은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대우조선해양까지 자회사로 두는 중간지주회사이자 그룹 조선사업의 투자와 엔지니어링 등을 담당하게 되는데 본사는 서울 종로구 계동의 현대사옥에 입주할 예정이다.

울산시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물적 분할로 주요 기능과 인력이 신설 중간지주사가 있는 지역으로 빠져 나가면 그만큼 세수가 줄어들고 도시의 위상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판단이다.

현대중공업 노조도 물적분할을 반대하고 나섰다. 물적분할로 새로운 회사가 탄생하면 기존 단체협약 승계 문제, 상시 고용 불안, 신설 자회사 이윤의 중간지주사로의 이전 문제 논란 등이 생길 수 있다는 이유다. 노조는 오는 13~24일 경고 투쟁을 하고 주총이 예정된 31일까지 주총 취소를 위해 총력 투쟁한다는 방침이다. 노조 관계자는 “현대중공업의 지주회사가 서울로 이전하면 울산의 현대중공업은 본사 기능을 상실한다”면서 “본사 이전으로 인해 법인세 등 세수가 줄어들어 지역경제가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인력 구조조정 등으로 고용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