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지진 여파 CO2 저장사업도 좌초되나

입력 2019-05-06 19:18

정부가 경북 포항에서 추진 중인 이산화탄소(CO₂)저장사업의 중단 여부가 이달 말쯤 최종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6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포항시 등에 따르면 ‘포항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실증사업’의 지진 유발 관련성 및 안전성에 대한 전문가 조사가 진행 중이다. 산업부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절차를 거쳐 이달 중으로 이산화탄소 저장시설의 중단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포항에는 바다와 육지에 각각 이산화탄소 저장시설이 있다. 두 곳 모두 2017년 11월 15일 발생한 포항지진 여파로 가동이 중단됐다. 포항제철소와 400여m 떨어진 해상에는 석유시추선 형태의 ‘포항분지 해상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실증사업 플랫폼’이 설치돼 있다. 2013년부터 산업부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공주대 등과 손잡고 약 1만t을 주입하기로 한 시설이다. 포항지진이 일어나기 1년 전인 2016년 11월 100t이 시험 주입됐다.

포항시 남구 장기면에 있는 육상 저장시설은 2016년 굴착을 시작했다. 이 시설은 가스주입정을 800m까지 판 상태에서 시험 주입 전 가동을 멈췄다.

포항시는 지진촉발위험 등을 이유로 시설 폐쇄 및 철거를 요구하고 있다. 학계에서도 이산화탄소 누출사고 등 안전성 여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고, 포항지진을 촉발한 지열발전소처럼 땅에 시추공을 뚫는 시설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이 크기 때문이다.

포항시 관계자는 “이산화탄소 저장시설의 경우 지진이라든가 환경오염, 해양생태계 파괴 등 여러 가지 위험요소를 갖고 있다”며 “이러한 위험요소를 없애기 위해서라도 시설 폐쇄와 원상복구가 이뤄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