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북한의 신형 전술유도무기 발사와 관련해 일본 정부와 매체 모두 이례적으로 비판을 자제하며 북한을 자극하지 않으려는 모습을 보였다.
도쿄신문은 북한의 신형전술유도무기 발사 후 일본 정부가 자국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다고 보고 북한에 항의하지 않은채 조용히 관망하고 있다고 5일 보도했다. 북·일 정상회담에 적극적인 아베 신조 총리가 소란스럽게 하고 싶지 않다는 입장이어서 정부 각료들도 비판을 자제했다.
이와야 다케시(사진) 방위상은 전날 기자들에게 “일본의 영해나 배타적경제수역(EEZ)에는 영향이 없고, 긴 사정거리는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발사 의도에 대해선 “미국에 대한 견제가 아닐까 싶다”고 했다.
일본 정부는 북·일 정상회담의 전제 조건으로 납치문제 진전을 내세웠던 기존 입장을 바꿔 최근 조건 없이 북·일 정상회담을 추진키로 하는 등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일본 언론들도 일제히 ‘실제 군사 도발이 아니라 북·미 협상 압박용’이며 ‘북·미 간 협상에서 이탈하려는 의도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을 내놨다.
중국에선 북한의 이번 전술유도무기 발사가 미국에 대한 불만 표출이자 군부 강경파와 주민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있다는 해석이 나왔다. 신랑망은 “비핵화 협상의 교착 상태가 깨지지 않고,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이 성과 없이 끝나 불만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정지융 푸단대 교수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안보를 지킬 역량이 충분하다는 점을 북한 강경파와 주민들에게 보여주려는 의도도 있다”고 평가했다. 양시위 중국 국제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북한의 발사체가 단거리여서 어떤 국제법도 위반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면서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을 강조했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이택현 기자 schroh@kmib.co.kr